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OITA, 2010년도 연구개발 전망조사 보고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0-02-01
  • 등록일 2010-02-11
  • 권호

요 약



Ⅰ. 조사목적



○ 국내 주요기업의 2010년도 연구개발투자 및 연구인력에 대한 동향과 투자계획을 조사•분석하여 기업의 연구개발 전략수립 및 정부의 정책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



Ⅱ. 상위 기업의 R&D 전망



○ 연구개발투자 상위 300개사의 절반이 넘는 57.6%가 2010년도에 연구개발 투자확대를 계획하고 있으며, 전년수준을 유지하겠다는 응답은 35.3%, 투자를 축소하겠다는 응답은 7.0%로 각각 나타남



- 연구개발 투자규모는 조사대상 기업의 45.7%가 기업규모와 성장잠재력을 고려할 때 적정수준보다 부족하다고 응답함



○ 상위 300개사의 50.0%가 2010년도에 연구인력 채용규모를 확대하겠다고 응답했으며, 전년수준을 유지하겠다는 응답은 42.7%로 나타남. 반면 전년수준보다 축소하겠다는 응답은 7.3%에 불과했음



- 연구인력 보유규모는 조사대상 기업의 52.0%가 기업규모와 성장잠재력을 고려할 때 적정수준보다 부족하다고 응답함



○ 2010년도 기업 경영환경은 상위 300개사의 60.7%가 2009년도에 비해 개선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2009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26.0%,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은 13.3%로 각각 나타남



○ 상위 기업들은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하면서 중장기 연구과제에 대한 투자 곤란(55.0%)을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 R&D 결과의 사업화 곤란(35.7%), 고급 연구인력의 확보 및 유지(32.3%) 등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Ⅲ.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및 인력계획



□ 2010년도 기업의 경영환경은 기업규모와 관계 없이 2009년에 비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됨



○ 대기업의 44.0%, 중소기업의 55.1%가 2009년에 비해 경영환경이 개선될 것이라고 응답함



□ 2010년도 기업의 연구개발투자는 자체부담액 기준으로 전년대비 11.1%(3조 2,652억원) 증가한 32조 8,078억원으로 전망됨



○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이 전년대비 8.9% 증가한 23조 5,437억원을 투자할 것으로 전망되며, 중소기업의 경우 9조 2,641억원을 투자하여 전년대비 17.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업종별로는 전기전자가 15조 3,322억원(46.7%)을 투자할 계획으로 가장 많고, 기계소재 9조 8,621억원(30.1%), 화학섬유 3조 1,194억원(9.5%), 정보통신 1조 6,414억원(5.0%) 등의 순으로 나타남



○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투자는 2.43%로 전년대비 0.01%p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이 2.20%, 중소기업이 3.34%로 각각 나타남



○ 2010년도 기업의 연구개발투자 집중도를 살펴보면 상위 5개사가 총 연구개발투자의 38.9%를 차지하고, 상위 10개사가 44.6%, 상위 20개사가 50.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2009년말 기준으로 조사된 연구원 수는 21만 7,483명으로 전년대비 10.4% 증가했으며, 증가율이 2008년도에 비해 4.3%p 높아진 것으로 나타남



○ 기업규모별 연구원 수는 대기업이 전년대비 6.2% 증가한 11만2,573명이며, 중소기업은 15.3% 증가한 10만 4,910명으로 나타남



○ 업종별 연구원 수는 전기전자가 8만 2,415명(37.9%)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계소재 6만 5,362명(30.1%), 화학섬유 2만 3,349명(10.7%),정보통신 2만 2,418명(10.3%) 등의 순으로 나타남



□ 2010년도 연구원 신규채용 규모는 3만 1,819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중소기업의 신규채용은 1만 8,888명(59.4%)으로 대기업의 1만 2,931명(40.6%)에 비해 크게 나타남



○ 업종별로는 전기전자가 9,793명(30.8%)의 연구인력을 채용할 계획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기계소재 8,443명(26.5%), 화학섬유 5,441명(17.1%), 정보통신 3,895명(12.2%), 건설업 1,555명(4.9%), 기타 2,692명(8.5%) 등의 순으로 나타남



□ 기업들이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느끼는 애로사항은 연구개발 인력 확보 곤란이 42.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연구개발 자금 부족 31.5%,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 곤란 27.3%, 연구개발 성공의 불확실성 25.8% 등의 순으로 나타남





Ⅳ. 결론 및 시사점



○ 연구개발 투자는 외부 경영환경과 무관하게 견조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기업들은 2010년도 연구개발 투자를 두자릿수 이상 확대할 계획으로 전망됨



○ 2009년도 연구원 증가율(10.4%)이 종업원 증가율(5.9%)과 연구개발투자 증가율(8.8%)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등 기업들의 적극적인 연구인력 확충노력이 지속되고 있음



○ 신규연구소 설립 증가로 인한 연구개발 지표의 긍정적 변화가나타나고 있으며, 기업들은 경영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시장선점과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R&D투자를 추진할 것으로 분석됨



-목차-



요 약


제 1 장 조사개요

1. 조사목적

2. 조사방법 및 대상

3. 보고서 용어설명 및 유의사항


제 2 장 상위 기업의 R&D 전망

1. 연구개발투자 변화 전망

2. 연구인력 채용 전망

3. 경영환경

4. 연구개발 애로사항


제 3 장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및 인력계획

1. 연구개발투자 실적 및 계획

2. 연구개발 인력확보 실적 및 계획

3. 경영환경

4. 연구개발 애로사항


제 4 장 결론 및 시사점

1. 연구개발투자

2. 연구인력

3. 연구개발활동 

부록. 연구개발 전망조사 추정결과 비교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