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중기청,사업화가능성 진단결과와 함께 R&D자금까지 지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중소기업청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0-02-25
  • 등록일 2010-02-25
  • 권호


  ’09년 신기술사업화평가 우수과제에 R&D자금 272억 투입  

 

R&D사전기획* 결과 기술성과 사업성이 인정된 중소기업 신기술이 ‘10년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과제로 자동 선정되어 R&D자금이 투입된다.

*신기술사업화평가사업:(1단계)신기술과제신청→사업화타당성평가→평가보고서 제공(기술·시장성분석 및 사업화전략제시)

▶ (2단계)R&D자금 자동지원



25일, 중소기업청(청장 홍석우)은 ’09년 신기술사업화평가사업 지원과제 중 우수과제 86개에 대해 2년(‘10~’11)에 걸쳐 총 272억원(‘10:123억, ’11:149억)의 R&D자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R&D자금을 지원받게 될 과제는 기계, 생명, 소재, 화학 등 산업 각 분야에서 중소기업의 역량을 과시할 수 있는 우수 기술로,

『‘09년신기술사업화평가사업』의 엄정한 절차를 거쳐 15:1의 경쟁률을 뚫고 선정된 과제이다.

*(신청)1,282과제→(1단계:사업화평가)148과제→(2단계:R&D연계)86과제 

 






<분야별 연계지원과제 및 금액>


                                                                              (단위 : 개, 백만원)
 





















































































구 분



기계



생명



소재



전기



전자



화학



HW



SW



합계








평가대상



30



6



14



8



27



16



11



36



148



연계추천



10



5



11



7



16



15



8



14



86



지원


금액



1차년



1,350



610



1,680



1,110



2,350



2,160



1,160



1,920



12,340



2차년



1,950



930



2,020



1,230



2,750



2,480



1,070



2,430



14,860



합계



3,300



1,540



3,700



2,340



5,100



4,640



2,230



4,350



27,200



본 사업은 무분별한 R&D개발에 따른 시장실패 방지를 위해 신청과제에 대해 해당분야 전문가들의 기술성·사업성 분석 및 사업화 전략까지 포함된 진단보고서를 제공함으로써,중소기업의 신기술 사업화 가능성을 사전 진단할 수 있도록 방향제시를 해주고 있다.

특히, 우수과제에 대해서는 R&D자금(최대 5억원, 2년)까지 자동으로 연계지원되도록 하고 있는데, 금번에 선정된 우수과제는 별도의 R&D 선정평가 과정이 생략됨으로써 일반 R&D사업보다는 최대 반년 이상 빠르게 자금이 지원되어, 기업의 R&D활동 편의성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또한, 중소기업청은 ’08년 R&D체계 개편을 통해 도입된 R&D단계별 연계체계 정착?확대를 위해, 매년 사업화평가 우수과제에 대한 R&D자금 자동 연계비율*을 높여 나가고 있다.

* 동 사업 우수과제의 R&D 자동연계율(%) : (’08) 34.4% → (’09) 48.1% → (’10) 58.1%



한편, 신기술사업화평가사업은 금년부터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3월부터 실시되며, 총 30억원의 예산으로 120여개 과제가 지원될 예정이다.




문의 :기술정책과 편장범(042-481-4455)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