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IET,신재생에너지 설비 산업의 역량 분석 및 정책 지원 방향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산업연구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0-02-24
  • 등록일 2010-02-26
  • 권호

○ 녹색성장 정책의 성공여부는 결국 신재생에너지의 생산 및 공급을 담당하는 설비산업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 


에서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산업화 수준과 기업역량을 분석하고 향후 정책 방향을 제시 


  - 신재생에너지 설비산업의 육성 없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사업의 확산은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국내 생산보다 수입을 촉진시켜 신성장동력의 확충을 지연시킬 우려 


  -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설비산업의 성장에 적합한 정책 마련이 긴요 


○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산업화 수준과 기업역량은 모두 100점 만점 중 50점 이하의 수준에 불과한 등 산업 역량이 양호하지 못하여 관련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 


○ 정부는 산업화 수준과 기업역량면에서 잠재력이 있는 '선도기업'의 수를 늘리며, 이들 선도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 


  - 해외진출은 시장 확보뿐만 아니라 선진 기술습득의 기회로 활용되므로 있는 해외사례를 참조하여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해외진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긴요  


  - 또한, 저변기업, 잠재기업 등의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지원으로 이들 기업들이 선도기업에 오를 수 있도록 지원하여 신재생에너지 설비산업의 전반적 역량을 제고할 필요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