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한국조세연구원, R&D 사업의 성과관리와 재정지원 개선 방안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조세연구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9-12-01
- 등록일 2010-03-03
- 권호
국문목차
Ⅰ. 서 론
Ⅱ. R&D 사업의 분류와 현황
1. 우리나라 R&D 현황
2. 연구개발(R&D)관련 정부 지원 예산
Ⅲ. R&D 재정지원 효과와 개선방안
1. R&D 관련 조세지원 정책
2. R&D 관련 정부 지원 결정 행태 및 효과: 실증분석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관리방안
1.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의 배경과 목적
2.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 방법론의 역사와 현황
3. 우리나라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 현황
4. 외국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 현황
5.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의 주요 쟁점과 개선 방안
Ⅴ. 정책적 시사점 및 맺는 말
참고문헌
<부록1> 주요국의 연구개발 관련 조세지원제도
<부록2> 부처별 사업 주요내용 요약
국문요약
본 연구는 연구개발활동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과 성과관리방식의 개선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민간기업의 연구개발활동에 대한 정부의 재정적인 지원으로는 조세유인과 직접적인 재정지원의 두 가지 방안 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직접적인 재정지원의 효과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의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의 사회 경제적 효과성에 대한 성과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는 전 세계적인 추세를 소개하고, 연구개발사업의 성과평가의 전통적인 수단인 전문가 평가의 객관성 제고 및 정량적 지표를 통한 성과정보의 보완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요약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develop policy agenda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of public R&D programs and of public spending on R&D activities.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ax incentives and government subsidies for firms' R&D activities. Particularly, it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s of government subsidy on firms' R&D activities and develops policy agenda.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examines issues involved in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R&D programs. It suggests that, for the purpose of setting priorities of public R&D programs, it is imperative to find an effective way of assessing the economic and social impact of R&D programs. In particular, it stresses that improving the objectivity of expert panel and using relevant quantitative performance information of R&D programs are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