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IT 융합 뇌원천기술 개발 본격 추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0-03-11
  • 등록일 2010-03-11
  • 권호

- 2010년도 뇌신경정보 및 뇌공학 분야 원천기술개발 신규과제 공모 - 



□ 사람의 의도와 감정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각종 인지장애치료 등에 활용될 수 있는 뇌연구가 본격 추진될 예정이다.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뇌신경정보 및 뇌공학분야의 신규과제를 3월11일(목)부터 4월12일(월)까지 공모한다고 밝혔다.

 


□ 정부는 지난 ‘07.12월 제2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08~‘17)을 수립, 뇌신경생물, 뇌인지, 뇌신경계 질환, 뇌신경정보 및 뇌공학, 뇌융합 등 5개분야에 향후 10년간 1조5천억원을 투자하는 뇌연구 육성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 


 ○ 이중 금년도 신규로 추진할 “뇌신경정보 및 뇌공학” 분야는 뇌기능 이해,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뇌구조ㆍ기능의 영상화와 정보기술(IT)의 뇌과학 분야 응용을 위한 핵심원천기술을 개발하는 분야로서,


 ○ “뇌신경정보기반 의도인식을 통한 능동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사소통 접속장치)개발 및 감정/지식 인지 계산 모델 개발”을 목표로 5개내외의 과제를 선정하고, 1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 뇌신경생물(‘09~), 뇌인지(’06~), 뇌신경계질환(‘06~) 분야는 기 추진


□ 2010년 개발에 착수하는 “뇌신경정보 기반 능동상호작용 인터페이스 기술”은 영유아, 고령자 등의 목소리ㆍ표정ㆍ안구 움직임 등 다양한 생체정보의 뇌기능적 분석과 이를 통해 감정 및 의도를 파악하는 핵심원천기술로

 


○ 지능형 로봇, 의료기기, 기억/인지 치료, 컴퓨터, 영상, 음향 및 영상음향기기와 관련 되어 향후 폭넓게 활용이 가능하며,

 


○ 2015년까지 개발을 완료하여 기술경쟁력을 선진국대비 100%까지 끌어올리는 한편, 622억달러 규모의 세계시장에서 관련산업 부가가치 생산액 8천9백억원, 7천4백여명의 고용창출이 예상된다.


□ 뇌연구는 미국, EU,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집중지원하고 있는 분야로서, 10년후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신성장동력 분야의 하나이며 원천기술확보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하고 있다.


   * 미국: 52억달러(’08, NIH 전체예산의 18%, 5조98백억원),


     일본: 약 300억엔(‘06, 3,840억원), 유럽: 5.38억유로(’06, 20개국 8,450억원)

 


 ○ 특히,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에 따라 증가하는 뇌관련 질환 치료, 장애극복, 인간의 인지능력활용을 통한 상품ㆍ서비스의 기능 향상,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뇌연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 뇌연구의 활용범위가 뇌질환 진단 및 치료 등 뇌분야 외에 공공부문, 교육, 산업, 기업활동, 문화 등 개인과 사회 전분야에 광범위하여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교과부 박항식 기초연구정책관은 “그간 추진해 온 뇌신경질환, 뇌신경생물 등 분야외에 우리의 강점인 IT를 기반으로 한 뇌신경정보 및 뇌공학 융합연구를 지원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뇌연구 기술수준을 2008년 13위에서 2017년 세계 7위권으로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도록, 뇌과학원천기술개발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2010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추진(안)






□ 분야 및 추진방법


  ○ (분야) 뇌신경정보 및 뇌공학 분야 원천기술 개발


  ○ (방법) 융합연구 기반 구축이라는 목표에 부합되도록 중과제로 사업 공모 및 선정, 지원


  ○ 2단계(3+2)사업으로 진행


    - 1단계(3년) : 뇌신경정보 기능 분석 및 인터페이스 기반 기술 확보


    - 2단계(2년) : 핵심원천 기술 및 응용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 진도관리(매년) 및 단계평가(1단계 종료 후)를 통해 우수 연구과제의 경우 연구비 증액




□ 기대효과


  ○ 차세대 성장 산업인 뇌과학관련 사업의 기술력 및 경쟁력 획득을 통해 세계적 기술경쟁력 확보 및 국가발전에의 기여


  ○ 새로운 IT 융합기술 분야의 국가경쟁력 주도 및 특허 우선 선점 등


 




□ 추진일정


   ○ ‘10.3월 : 사업 추진계획(안) 확정


   ○ ‘10.3월 : 사업추진 공고


   ○ ‘10.4월 : 과제접수 및 선정평가


   ○ ‘10.4월말 : 협약 및 연구사업 착수




<자료문의> ☎ 02-2100-6653, 융합기술팀장 임요업, 사무관 이윤철 

               ☎ 042-869-7782, 한국연구재단 나노융합단 선임연구원 유진상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