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국가중점기술에 대한 기술수준평가 착수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0-03-26
  • 등록일 2010-03-29
  • 권호

- 95개 기술의 수준을 평가하여 실질적 기술개발전략을 제시예정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국가 중점기술에 대한 기술수준평가를 위해 2010. 3. 26(금) 기술수준 평가위원회를 개최하고 분야별 기술수준평가 작업에 착수한다.




  ○ 기술수준평가 대상기술은 이명박 정부의 577 계획에 포함된 90개 중점과학기술과 융합 원천기술 및 신산업창출 관련 5개 등 총 95개 기술이다.




□ 기술수준평가위원회는 5개의 실무위원회(정보ㆍ전자, 바이오ㆍ의료, 기계ㆍ소재ㆍ항공, 에너지ㆍ자원ㆍ환경, 건설ㆍ교통ㆍ안전)를 두고 각 실무위원회는 실시간 델파이 조사와 기술성장모형의 도출ㆍ해석을 통한 한국의 주요기술수준을 평가할 예정이다. 


   ※ 실시간 델파이 조사, 기술성장모형의 도출ㆍ해석 : 별첨 참조




□ 금번 기술수준평가는 2008년도에 기술수준평가에 참여한 동일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평가의 일관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 또한 2008년도에 했던 조사결과에 대한 신뢰성 검증 및 실제 기술수준과의 격차정도, 기술수준 국제비교 등의 심층분석을 통해 실질적인 기술개발 전략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 국가차원의 기술수준평가는 2003년 이후 「국가기술지도(NTRM)」, 「미래 국가유망기술 21」,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중점기술에 대해 네 차례 추진되었으며, 과거의 기술수준평가는 델파이를 위주로 한 정태적 분석에 머물렀으나 앞으로 기술성장 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가 강화된다.




□ 기술수준평가 결과는 국가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서, 수백억 이상의 투자가 소요되는 정부 주요사업의 예비타당성 검증과 R&D 사업의 신규 기획 등 정부 R&D 포트폴리오 및 투자기본방향 수립에 널리 활용될 예정이다.




<자료문의> 2100-6640 과학기술기반과장 : 장보현, 사무관 : 이종규




※ 자세한 내용은 붙임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