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기초연구 실험데이터 글로벌 허브 구축사업 주관연구기관 선정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0-03-31
- 등록일 2010-04-01
- 권호
- 국내연구자도 세계적인 연구소의(CERN, FNAL, KEK 등) 대용량 실험데이터를 이용한 연구가 쉬워진다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올해 신규사업인 「기초연구 실험데이터 글로벌 허브 구축사업」의 주관연구기관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연구책임자 장행진)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 이번에 선정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2010년까지 향후 5년간 총130억을 지원받게 될 예정이며, 올해 지원예산액은 10억원이다.
□ 동 사업의 목적은 세계적인 첨단 연구장비, 거대 관측장비 및 모의실험에서 발생하는 대용량 실험데이터(예 : 스위스 CERN의 가속기에서 발생되는 대용량 실험데이터)를 확보,공유함으로써 국내연구자의 데이터집약형 기초과학 연구에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 기존에는 이들 연구소의 방문 등을 통해서도 대용량 실험데이터에의 접근이 어려웠으나, 동 사업의 시행으로 24시간 실시간으로 실험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 올해에는 세계적인 규모의 고에너지 실험 가속기 보유 연구소인 미국의 Fermilab과 일본의 KEK의 실험데이터 공유 등 추진을 위한 기반을 구축할 예정이다.
○ 향후, 2011년에는 CERN과의 Tier1*급 테스트베드 구축 등 협력을 모색하는 한편, 점차 나노?지구환경 등의 분야로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 실험데이터의 종류로 Tier 0는 Raw 데이터, Tier 1 Tier 0에서 걸거진 Raw 데이터, Tier 2는 Tier 1 데이터로 연구한 데이터
□ 이들 연구소는 가속기에서 발생하는 대용량의 실험데이터를 저장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주요국에 분산저장후 글로벌 그리드망을 통해 실험데이타를 공유하게 된다.
○ 따라서 이번에 선정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대용량 실험데이터 공유?분석용 초기클러스터(CPU) 구입 및 해당 연구소와의 협력을 통해 실험데이터 엑세스 및 모니터링 기술 개발을 추진하게 되며, 이를 위해 전문인력 파견, 연구 커뮤티니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국내 연구자들에게 24시간 실시간으로 세계적인 연구소의 대형 실험데이터에의 접근성 제고를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연구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기초연구의 활성화 및 기초과학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자료문의> ☎ 02-2100-6803, 교육과학기술부 주무관 김기민
☎ 042-869-6350, 한국연구재단 집단연구지원팀장 라상원
※ 자세한 내용은 붙임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