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NRF,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4월 수상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연구재단
- 주제분류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10-04-01
- 등록일 2010-04-02
- 권호
- 기능성 나노표면 제어 기술 및 고성능 유기전자소자 개발 공로-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은 빛을 이용한 소재 표면의 특성을 자유자재로 변화시킬 수 있는 표면 제어 기술을 개발하여 고분자 계면 및 표면 과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조길원 교수(趙吉元 53세)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4월 수상자로 선정하였다.
□ 조길원 교수는 고분자 과학 및 표면 과학 분야 연구를 수행하여 ▲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스마트 표면 제조 기술 ▲ 이온교환 원리를 이용한 스위칭 나노표면 개발 ▲ 유기반도체의 표면유도 자기조립 기술의 개발에 대하여 꾸준히 연구해 왔다.
○ 조 교수는 2001년부터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국가지정연구실사업의 지원을 받아 『기능성 고분자 나노표면 기술』을 연구하였으며, 2008년부터는 도약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자기조립성 유기반도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연구』를 수행하여 고분자과학 및 유기전자소자 분야에 탁월한 연구 성과를 발표하여 왔다.
○ 또한, 교육과학기술부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과 한국연구재단 「대표적 우수연구성과 50선」에 연이어 선정되었으며 국내외 학계 및 산업계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 특히, 조 교수는 「빛을 이용하여 소재 표면에서 물을 완전히 밀어내는 초발수 상태나 완전히 빨아들이는 초친수 상태로 표면 특성을 자유자재로 변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 이 기술은 빛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면 좁은 범위에서 표면 특성을 변화시켜 패턴화 할 수 있고 기존 방법에 비해 빠른 반응 응답시간(3분 이내)을 보이기 때문에 첨단 기기의 기능성 표면 등 산업 전반에 응용 가치를 높였다.
□ 이 연구결과는 2006년 10월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게재되었고 영국왕립화학회지인 ‘Chemistry World’와 광학전문지 ‘Photonics Spectra’에 주목받는 연구기술로 소개되었으며, 2008년에는 일반인을 위한 세계적인 과학저널 ‘Scientific American’에 집중소개 되었다.
○ 또한, 소재의 표면에 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표면유도 자기 조립 방법을 이용하여 유기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단결정 유기반도체 소자』를 개발하여 2008년 재료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발표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전하이동 특성이 우수한 유기반도체 단결정 구조체 및 박막의 손쉬운 제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차세대 고성능 유기전자 소자의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 조길원 교수는 최근 3년간 소재 표면 및 계면 연구 분야에서 국제학술지에 58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그중 인용지수 7.0 이상인 Nature Materials, 미국화학회지 등 세계 수준의 학술지에 15편을 발표하고 20여건의 특허를 등록하는 등 세계적으로 고분자 계면 및 표면 과학분야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 조길원 교수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수상이 지금까지의 연구에 대한 격려로 생각하고, 앞으로 고분자 표면과학 및 유기전자소자 분야에서 더욱 창의적이고 탁월한 연구성과를 이루어 미래 원천 기술 확보와 국가 과학기술발전에 이바지하겠다.”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