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기초연구 성과활용 지원사업」시행계획 확정ㆍ공고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0-04-02
- 등록일 2010-04-02
- 권호
- 기초연구성과 Seeds 발굴 및 슈퍼특허 설계지원 본격 추진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은 2010년에 처음으로 시행하는 「기초연구 성과활용 지원사업」세부 시행계획을 확정·공고하였다.
○ 이번에 확정된 세부사업은 「기초연구성과 Seeds 발굴 지원사업」과 「대형성과물(슈퍼특허) 설계 지원사업」이며 지원대상은 대학ㆍ출연(연) 등 공공연구기관이다.
□ 「기초연구성과 Seeds 발굴 지원사업」은 대학ㆍ출연(연) 등의 기초연구성과에 잠재되어 있는 기술의 씨앗(Seeds)을 발굴하여 산업계로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사업으로 2010년도에는 13억원을 지원한다.
○ 접수된 기술 중 200 건의 후보기술에 대한 예비분석을 실시하고 그 중 20건을 선정하여 논문ㆍ특허 등 관련분야의 기술 및 산업계ㆍ시장 동향 등을 분석하는 성과맵을 작성한다.
○ 작성된 성과맵은 연구자에게 제공되어 연구자가 후속 연구 또는 기술이전, 산학연계 추진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성과맵(Technology Map)의 개념 ○ 연구개발성과물(논문, 특허, 시작품 등)이 해당 분야에서 어떠한 기술적․시장적 위치에 있는지를 |
□「대형성과물(슈퍼특허) 설계 지원사업」에서는 기술파급효과가 큰 핵심기술을 보유한 대형 연구성과물의 특허 설계․권리화 지원을 위해 총 13.5억원을 투입한다.
○ 단순히 국내 출원비용만을 지원하는 데 그치지 않고 권리범위가 큰 강한 특허(일명 슈퍼특허)로 설계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지원하여, 세계기술시장에서 원천기술을 선점할 수 있도록 해외출원까지 지원한다.
○ 2011년부터는 동 사업의 결과물 중 상용화가 임박한 기술은 특허청이 시행하는 ‘유망기술 발굴 및 사업화 지원’과 연계하여 기술이전을 추진할 예정이다.
<슈퍼특허Super Patents)의 개념> ○ 본 사업에서 말하는 슈퍼특허란 다양한 제품이나 서비스의 개발과 생산에 적용되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이 매우 크면서도 관련 기술 분야의 생산이나 활용에 필수적인 요건을 권리로써 갖고 있는 특허 또는 특허 패밀리로서 기술적 우월성으로 향후 다양한 인용특허를 발생시킬 수 있는 특허기술을 의미함 ○ 슈퍼특허는 막대한 잠재시장 규모를 보유하는 표준특허(standard patents) 또는 원천특허(essential patents), 길목특허(roadblock patents) 등의 다양한 형태의 특허기술을 의미함 |
□ 배영찬 한국연구재단 연구진흥본부장은 ″이 사업을 통해 연구기획에서부터 원천기술 확보, 기술이전까지 국가R&D를 전주기적으로 관리해 성과활용을 촉진하는 선순환을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사업공고는 한국연구재단(www.nrf.go.kr) 홈페이지에 게재되며, 문의처는 다음과 같다.
<자료문의>☎ 02)2100-6641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기반과 장보현 과장, 김보현 사무관
☎ 042)869-6641 한국연구재단 R&D 혁신센터 김해도 팀장
※ 자세한 내용은 붙임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