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제7회 한ㆍ미 나노포럼 개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0-04-05
  • 등록일 2010-04-06
  • 권호

- 나노에너지분야 연구 성과 교류를 통해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협력의제 도출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와 미국과학재단은 4월5일(월)부터 6일(화)까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제7회 한ㆍ미 나노포럼(The 7th Korea-U.S. NanoForum)'을 개최하고 나노기술을 활용한 에너지기술분야에서의 양국간 협력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 2002년 제5차 한미과학기술공동위원회의 합의사항을 바탕으로 2003년부터 시작된 한미 나노포럼은 나노기술 분야에서 매년 중요 연구성과의 교류와 공동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한국과 미국 정부 간의 공식적인 포럼이다. 한국의 교육과학기술부와 미국의 국립연구재단(NSF)이 주최하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나노기술연구협의회 및 카네기멜론대(미국)가 공동 주관하고 있다.




□ 이번 7회 포럼에서는 "Nanotechnology Convergence in Energy"를 주제로 정하고 Nano Solar Cell(나노태양전지), Energy Harvesting(에너지 수확) 및 Artificial Photosynthesis(인공 광합성) 등 에너지분야에서의 나노기술의 활용에 대해 집중적인 조명과 정책적 논의가 이루어질 계획이다.




□ 첫째 날 개막식에는 나노연구협의회 김학민 회장, 이화여대 이배용 총장, 주한미대사관의 James M. Waller 과학참사관 및 교과부 관계자 등이 참석하고, 이어서 한양대학교의 강용수 교수 및 노스웨스턴대학교의 Yonggang Huang 교수를 비롯해 양국에서 20여명의 중요 프로젝트 책임자급 연구자들이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발표한다.




□ 둘째 날에는 미국 정부의 나노기술 정책을 총지휘하고 있는 미과학재단(NSF)의 미하일 로코(Mihail C. Roco) 박사가 기조강연을 하고, 이어서 10여명의 신진과학자들의 최신 연구성과 발표가 이어진다.




□ 또한, 나노에너지 연구분야 및 그동안의 한미나노포럼의 성과를 정리하고 미래의 정책적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워크숍을 통해 대정부 정책 건의문을 채택함으로써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녹생성장을 견인하기 위한 한-미 양국간의 협력방안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 특히, 첫째 날과 둘째 날의 연구성과 발표에 대해서는 일반 대중에게 공개함으로써 최신의 나노에너지분야 연구동향을 알리고 양국 나노과학기술자간 정보교류를 촉진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문의> ☎ 02-2100-6837   미래원천기술과장 최원호, 사무관 도우동

                     02-3299-601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소대섭




※ 자세한 내용은 붙임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