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농식품부, 첨단 융복합 글로벌 Top5 핵심기술개발·연구인력양성에 1500억원 투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농림수산식품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0-04-06
- 등록일 2010-04-12
- 권호
- 지원체계 개편으로 거점 농업연구센터(ARC)를 지정, 우수연구인력 집중육성
농림수산식품 연구개발 지원방식이 현행 단기ㆍ분산지원에서 장기집중지원도 가능하도록 새로운 프로그램이 시행된다.
○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대학중심의 산·학·연 연구팀으로 구성된 농업연구센터(Agricultural Research Center, ARC)가 이러한 장기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되며,
○ 센터당 최장 10년까지 연10억원 규모(최대 100억원/개소), 총15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 (‘09) 신규선정과제 213개 중 89.7%의 지원기간이 3년이내, 10.3%는 4∼5년
농식품부는 2010년부터 향후 5년간 매년 3개씩 총15개의 농업연구센터(ARC)를 지정해 나갈 것이며
○ 이러한 농업연구센터(ARC)의 지원은 최첨단 BTㆍITㆍNT 융복합 핵심기술개발로 1ㆍ2ㆍ3차 산업의 한계적 특징을 갖고 있는 현재 농업을 최첨단 기술집약 산업으로 변모하도록 융·복합 산업창출을 유도하게 될 것이다.
* 융복합기술 접목 예시*【참고2】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구축, 생체정보 측정센서개발, 유전자조작기술과 식물재배기술을 복합하여 탄생한 파란장미 등
○ 뿐만 아니라 학제간 융합 등의 방법으로 우수한 신진 연구인력을 확보·양성하여 국가전체연구인력 대비 감소추세*에 있는 농업분야의 연구인력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농림수산분야 연구인력(전체대비) : ('00) 7,265(4.5%) → ('06) 7,132(2.8%)
농식품부는 2010년도에 우선 총3개(자유응모형 2, 지정공모형 1)센터를 지정해 나갈 계획으로
○ 매년 지정하는 센터의 공모유형은 원칙적으로 자유응모형이며 지원분야는 농업에 응용 가능한 첨단 융복합형 기술분야이다.
○ 다만, ‘10년도에는 부가가치가 높고 전 세계적으로 경쟁이 치열한 BT 활용 종자산업분야를 지정공모형으로 선정하여 종자생명산업 기술 및 전문 인력을 양성, 업체에 공급하여 일자리 창출 등 성과를 관리해 나갈 방침이다.
○ 센터 지정을 위한 주안점은 개발 기술의 질적 향상 및 우수인력 양성을 위하여 주요연구원의 연구수행 능력(특히, 주관연구책임자, 센터장)에 두었다(시행공고문 참고).
한편, 농업연구센터(ARC)에 대한 사업설명회가 4월 9일(금) 교육문화회관에서 있을 예정이며, 상세한 내용은 농림수산식품부 또는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공고는 4월1일부터 30일간이며, 예비계획서는 4월 30일까지 인터넷 접수하고, 3배수(9개) 연구팀을 선정하게 된다.
○ 2단계 본계획서는 5~6월에 평가하여 최종 선정결과는 6월 중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