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제43회 과학의 날」 과학기술진흥유공자 79명 정부 포상 수여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10-04-21
- 등록일 2010-04-21
- 권호
-과학기술훈장 창조장(1등급)에 유근철(柳根哲) KAIST 인재우주인건강연구센터 소장, 손연수(孫蓮秀) (주)나노하이브리드 부설연구소 소장 , 이호인(李鎬仁) 서울대 교수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4. 21(수), 대덕연구단지내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정운찬 국무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제43회 과학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고 과학기술진흥 유공자 79명에 대해 과학기술 훈장과 포장 그리고 각종 표창을 시상할 계획임.
□ 과학기술훈장 1등급인 창조장은 유근철(柳根哲) KAIST 인재우주인건강연구센터 소장, 손연수(孫蓮秀) (주)나노하이브리드 부설연구소 소장, 이호인(李鎬仁) 서울대 교수 등 3명에 대해 수여하며, 천문학자 故 조경철(趙慶哲) 박사에게도 과학기술훈장 최고 등급인 창조장이 추서됨.
○ 유근철(柳根哲) KAIST 인재우주인건강연구센터 소장은 우리나라 최초 한의학 박사로 약 600억원 상당의 부동산을 과학기술의 미래를 위해 KAIST에 기부하여 KAIST가 세계적인 우수대학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하였고, 한의학에 공학을 접목한 중풍 후유증 치료기를 개발하는 등 한의학의 과학화에 공로가 큼.
○ 손연수(孫蓮秀) (주)나노하이브리드 부설연구소 소장은 차세대 약물 전달체로 크게 기대되는 온도감응성 마이셀 및 하이드로젤 신물질 군을 세계최초로 개발하는 등 세계 최정상급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31년간의 수공기간에 75건(국내 33건, 국제 42건)의 발명특허를 등록/출원하였으며, 이 들 특허를 이용하여 실용화에 성공한 첨단화학 제품도 6건에 달함.
○ 서울대 이호인(李鎬仁) 교수는 30년 동안 공업촉매분야에 응용화학을 접목시켜 융복합 학문체계를 확립하였고, 147편의 학술논문, 15건의 국내외특허, 412건의 학술대회 논문발표와 함께 세계최초 피독저항성이 매우 강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개질촉매(Ni/MgSiO3) 개발 등 2건의 세계 정상급 수준의 에너지 및 환경 촉매를 개발하여 실용화 단계에 진입시켰음.
○ 고 조경철(趙慶哲) 박사는 정부 해외유치 과학자 제1호로 한국 천문학의 초석을 세웠으며, 한국천문학회 및 한국우주과학회 회장을 역임하면서 초창기 한국천문학 및 우주과학 발전에 기여하였고, 연세대학교 및 경희대 학교에 천문학 및 우주과학과를 창설하였으며, 한국국립천문대 창립에 공헌하였음, 또한 고인은 매스컴 출연, 다양한 형태의 강연 및 저술활동을 통하여 한국 현대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으며, 아폴로 박사라는 별칭을 받으며 국민들로부터 존경 받은 분임.
□ 과학기술훈장 2등급인 혁신장은 이익환(李翼煥) 한국원자력기술(주) 고문, 박용환(朴勇煥) 한양대학교 교수, 성창모(成昌模) (주)효성 사장, 조한희(趙漢姬) 계룡산자연사박물관 관장, 김철종(金哲鍾) 새한산업(주) 회장 등 5명에게 수여됨.
□ 3등급 웅비장에는 문헌일(文憲一) 문엔지니어링(주) 대표이사 등 6명이, 4등급 도약장에는 성우경(成宇慶)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등 7명이, 5등급 진보장에는 이형목(李珩睦) 서울대학교 교수 등 8명에게 수여됨.
□ 과학기술포장은 민병찬(閔丙贊) 한밭대학교 교수를 비롯한 8명, 대통령표창은 서치호(徐致鎬) 건국대학교 교수 등 18명, 국무총리표창은 홍승수(洪承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센터장 등 24명이 각각 수상함.
□ 교육과학기술부는 매년 「과학의 날」을 즈음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공적이 현저한 과학기술자를 발굴ㆍ포상함으로써 과학기술인의 명예와 사기를 높이기 위해 「과학기술진흥유공자」를 포상해오고 있는데, 2010년 유공자 포상 추진과정을 살펴보면,
○ ‘09년 12월 포상계획을 확정하였고, 12월 23일부터 1월 23일까지 1개월간 대학, 연구기관, 기업체로부터 수상후보자 추천을 받았음.
○ 추천을 받은 결과 총 296명이 추천되었으며, 추천된 후보자에 대해 2월에 분야별 심사와 후보자 발굴추천위원회의 추가 발굴을 거쳐 3월 3일 종합심사위원회에서 최종 심사를 하여 79명을 선정하였음.
○ 분야별 심사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서 6개의 분야별 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하였으며, 심사방법은 모든 추천자를 공적의 정도에 따라 ABC 3개 등급으로 분류하였으며, 추천위원회에서 발굴한 후보자는 별도 심사한 후 등급을 부여하여 종합심사위원회에 회부하였음.
○ 종합심사위원회에서는 분야별 심사결과를 바탕으로 공적, 경력, 수공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상후보자를 선정하고 각 포상후보자의 수상 등급을 결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교육과학기술부 공적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수상 후보자 등급을 결정하여 행정안전부에 추천하였음.
※ 6개분야 : 기초, 정보, 기계, 화공, 에너지, 과학기술진흥
○ 추천된 인원을 대상으로 차관회의와 국무회의를 거친 후 대통령의 재가로 최종 확정되었음.
<자료문의> ☎ 02-2100-6631, 과학기술문화과장 선태무, 사무관 문성용
※ 자세한 내용은 붙임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