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2010년 국가과학자 5명 신규 선정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0-04-29
  • 등록일 2010-04-29
  • 권호

- 최장 10년간(5+5년) 150억원 지원(연 15억원 이내)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은 세계적 수준의 독창적 연구성과를 창출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공헌할 2010년도 국가과학자 5명을 신규로 선정했다고 발표하였다.


 ○ 선정된 국가과학자는 서울대 김빛내리 교수(41세, 생명과학), 포항공대 남홍길 교수(53세, 융합), 고등과학원 황준묵 교수(47세, 수학), 서울대 노태원 교수(53세, 물리), 포항공대 김광수 교수(60세, 화학) 등이다.


 ○ 이번 선정으로 국가과학자는 2006년에 선정된 이화여대 이서구 교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희섭 박사, 2007년에 선정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유룡 교수와 함께 8명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 이번에 선정된 국가과학자의 주요 선정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서울대 김빛내리 교수는 국내 생명과학 분야를 대표하는 연구자로서, 10여년 전부터 유전자 조절 물질인 MicroRNA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MicroRNA의 생성원리 및 기능을 규명하였고, Cell 誌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점을 높이 평가 받았다.


 ○ 포항공대 남홍길 교수는 식물노화의 분자유전학분야를 새롭게 창출하여 세계적으로 창의성을 인정받았고,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3대 최고 저널인 NSC(Nature, Science, Cell)지에 교신저자로 게재한 점이 인정되었다.


 ○ 고등과학원 황준묵 교수는 기하학에 독창적인 이론체계를 수립하여, 지난 수십 년간 해결되지 못한 학계의 여러 난제를 해결하여, 국제 수학계의 연구리더로 떠올랐고, 우리나라 수학계를 세계 선진국 수준에 진입하는데 크게 기여한 공로로 선정되었다.


 ○ 서울대 노태원 교수는 국내의 열악한 연구 환경에도 굴하지 않고 순수한 국내 연구진과 함께 새로운 실험방법들을 통해 21세기 신성장동력인 고집적 산화물 메모리 소자의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우리나라 응집물질 물리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 포항공대 김광수 교수는 나노렌즈, 초거대자기저항 시스템을 발견하여, 나노과학이 미래 첨단 산업의 핵심기술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어 나노과학 분야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점을 인정받았다.




□ 금년도 국가과학자 사업은 우수역량을 가진 선도과학자들이 세계적 수준의 독창적 연구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기존의 선발기준, 선발절차, 지원기간 및 방식 등을 대폭 개선하였다.


 ○ 먼저 선정된 국가과학자에게는 연구의 자율성을 최대한 부여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를 마음껏 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고,


 ○ 아울러 정부가 개인에게 지급하는 최대 연구비인 매년 15억원을 최장 10년간 장기적ㆍ안정적으로 지원하고, 평가주기도 3년에서 5년으로 연장하여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는 안정적인 연구환경을 조성하였다.


□ 특히, 기존 연구업적 위주의 선발기준과 달리 연구의 독창성(Originality), 연구성과의 세계적 영향도(Impact) 및 연구자의 세계적 평판도(Reputation)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 아울러, 학회 등의 추천에만 의존하던 기존 선발방식에서 벗어나 Science Map 등 객관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독창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를 선정하였다.


 ○ 올해에는 우선 ▲高피인용 논문 발표자(최근  27년간 논문 피인용 상위 5,000명중 한국인 연구자) ▲세계 최고 수준의 선도적 연구 주도 과학자(최근 10년이내 피인용 상위 0.1% SCI 논문의 주저자) ▲세계 최고 수준의 과학 저널 논문 게재자(최근 6년간 세계적 저널에 주저자로 등재한 과학자) ▲기타 세계 수준의 연구성과 도출자(학문단장 추천 우수연구자) 등 4개군(群)에서 116명을 도출하였다.


 ○ 후보군을 대상으로, 학문분야별 추천위원회에서는 연구성과의 독창성, 영향도(Impact) 및 평판도(Reputation) 등을 위주로 17명의 후보를 추천하였고, 해외석학의 자문을 거친 후,


 ○ 종합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기초연구사업추진위원회(위원장 서울대 소광섭 교수)에서 5명을 ‘2010년도 국가과학자’로 최종 선정하였다. 


□ 이번 국가과학자 선정은 스타과학자를 적극 육성하여 우리나라의 과학기술력 향상과 기초분야 연구역량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젊은 신진연구자들과 학생들에게는 훌륭한 역할 모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문의> ☎ 02-2100-6831, 기초연구과 강상욱 과장, 최홍순 서기관

                ☎ 042-869-6820,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지원팀 이상대 팀장




※ 자세한 내용은 붙임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