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2010년 녹색성장분야 전문대학원 3곳 선정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0-05-13
  • 등록일 2010-05-14
  • 권호

- 최장 3년간(2+1년) 15억원 지원(연 5억원 이내)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은 녹색성장ㆍ신성장동력 산업분야의 맞춤형 핵심 고급연구인력을 양성할 2010년도 녹색성장분야 전문대학원 3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발표하였다.


 ○ 신성장동력 3대 분야(녹색산업분야, 융합신사업분야, 소프트파워분야)별로 전문대학원을 1곳씩 선정하였는데 녹색산업분야에서는 충남대 녹색에너지기술전문대학원(대학원장 이영우), 융합신산업분야에서는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대학원장 최양희), 소프트파워분야에서는 홍익대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대학원장 이순인)이 선정되었다.




□ 이번에 신규 선정된 녹색성장분야 전문대학원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충남대 녹색에너지기술전문대학원은 한국원자력연구원 및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의 학ㆍ연 연계과정을 개설하고 공동지도교수제를 통해 녹색에너지기술 맞춤형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특히 국내 유일의 선진핵연료주기기술인 파이로프로세스를 공동연구하는 한편, 현장 실무교육을 통해 방사선 등 원자력과 관련된 국가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은 광교 테크노밸리에 위치해 있어 단지 내 입주기업((주)웅진케미컬,(주)종근당 등 100여개 업체)과의 연합체를 구성해 열린 교육을 실시하는 등 융합 신산업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주)한빔 등 10개 기업과의 산업체 인턴십 프로그램, 삼성 SDS 및 삼성 LED와의 공동 연구ㆍ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실무형 융합인재를 배출할 예정이다.


 ○ 홍익대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은 영상ㆍ디지털 문화컨텐츠 부문의 리더로서 현재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실무 디자이너 4명을 전임교수로 초빙하고 있으며, 10여 개국의 유명 디자인학교와 교환학생 교류, 디자인전문회사 인턴 파견 등 글로벌 교육을 통한 학점 취득제도를 운영하여 국제 수준의 영상 디자이너를 양성하고 있다. 또한 현장실무를 중시하는 교육과 기업(삼성, LG, 현대중공업, 기아자동차)과의 산학 프로젝트를 통해 예술적 소양을 갖추고 IT신기술에 능통한 Art Director를 양성할 계획이다.




□ 녹색성장분야 전문대학원 육성사업은 2010년도에 신규로 착수한 사업으로 신성장동력 3대 분야(녹색산업, 융합신산업, 소프트파워산업 등)의 성장동력화를 이끌어갈 우수인재를 양성하는 전문대학원을 육성ㆍ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올해에는 총 9개의 녹색성장분야 전문대학원이 신청하였으며 사업목표, 교원, 교육과정, 대학역량 등을 중심으로 서면ㆍ발표평가와 현지 실사평가를 거쳐 선정하였다.


 ○ 선정된 전문대학원 3곳은 최장 3년간 연간 5억원씩 총 15억원을 지원받으며 석ㆍ박사 연구장학금, 교육과정개발 및 운영지원, 실험 및 연구기자재 구입 및 국제협력 경비 등에 활용하게 된다.


 ○ 향후 교육과학기술부는 지원대상을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10개 이상의 녹색성장분야 전문대학원에 대한 지원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선정 전문대학원 연락처

   충남대학교 녹색에너지기술전문대학원 이영우 원장(042-821-8600)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최양회 원장(031-888-9127)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이순인 원장(02-744-7700)




<자료문의> ☎ 02-2100-6252, 대학원지원과 오대현 과장, 김래수 사무관

                ☎ 042-869-6410, 한국연구재단 산학협력사업팀 한상덕 팀장




※ 자세한 내용은 붙임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