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전략적 기초연구 확대로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0-05-27
- 등록일 2010-05-27
- 권호
- 우리나라 주도 미래 유망분야 등 44개 대주제 도출로 신규과제 공모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과학기술기본계획, 녹색성장 등 국가 과학기술정책을 구현하고, 우리나가 주도할 수 있는 미래 유망 과학기술 분야를 발굴하여 적극 지원하며, 신종질환 등 사회 현안을 전략적으로 해결하고자, “2010년도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전략연구”를 확대 추진한다고 밝혔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연구자의 창의성을 중시한 “풀뿌리 기초연구” 강화 뿐만 아니라, 국가 과학기술 정책방향 반영 및 우리나가 주도할 수 있는 미래 유망 기초연구 분야에 집중 지원을 위해 전략연구 예산을 2009년 80억원에서 2010년 240억원으로 대폭 확대하고 본격적인 “전략연구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시행에 들어간다.
※ 전략연구 예산 : 80억 원('09년) ⇒ 240억 원('10년)으로 200% 증대
□ 전략연구는 전략적 기초연구사업의 실현을 위해 정부가 전략분야를 제시(Top-down)하고, 연구자가 연구내용 및 방법 등 세부 연구계획을 제안하는 방식(Middle up and down)인 새로운 형태의 프로그램으로 추진된다.
○ 경제적ㆍ사회적 중요성(창조적 지식 창출, Knowledge Creativity)과 파급효과(Impact)에 따라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된다.
□ 2010년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전략연구는 4개 유형, 13개 분야, 44개 대주제를 도출하였고, 신규과제 예산 160억 원으로, 총 41과제 내외를 선정하여, 과제당 최대 5억 원의 연구비를 최장 5년간 지원한다.
○ 유형 Ⅰ(중점)은 국가 과학기술기본계획과 신성장동력 추진전략, 녹색기술, 국가융합기술지도 등을 반영한 기후변화 등 6개 분야, 17개 대주제를 도출하고 80억원으로 16과제를 지원한다.
○ 유형 Ⅱ(유망)는 Science Map(세계 상위 1% 고피인용 논문 분석)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주도 성장이 기대되고 발전 가능성이 큰 미래 유망 전략분야로, 생명탐구, 신물질 창출 등 5개 분야, 17개 대주제를 도출하고 60억 원으로 15과제를 지원한다.
○ 유형 Ⅲ(이슈)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현안문제를 해결하고 잠재적 위험요소에 대한 과학기술적 해법 제시가 필요한 분야로, 신종질환 등 9개 대주제를 도출하고 14억 원으로 7과제를 지원한다.
○ 유형 Ⅳ(보호)는 경쟁력이 약해 상향식(Bottom up)에서는 선정되기 어렵고, 국가의 전략적인 보호와 육성이 필요한 분야와 주제에 대해 6억 원으로 3과제를 지원한다.
□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2010년 6월 30일(수)까지 연구제안서를 접수하여, 7월 초 예비 평가 및 8월 초 본평가를 거쳐 8월 말에 최종 선정자를 발표할 계획이다.
※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 국가연구개발사업통합공고 전산망 참조
□이러한 전략연구는 이명박정부의 과학기술기본계획, 신성장동력, 녹색기술 등 국가 주요 과학기술 정책과 기초연구사업의 연계를 강화하고, 기초연구의 전략성 보강을 통해 순수기초연구에서 원천연구로 성장해 갈 수 있는 브릿지(bridge) 역할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
전략연구 |
|
|
순수기초연구 |
→ |
→ |
원천연구 |
|
|
|
□ 박항식 기초연구정책관은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전략연구 추진을 통해 기초연구의 전략성 강화 및 목표지향적 기초연구 활성화로 녹색성장 등 국가 과학기술 주요 정책을 실현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료문의> ☎ 02-2100-6830, 교과부 기초연구과 강상욱 과장, 박영미 사무관
☎ 042-869-6820, 연구재단 선도연구지원팀 이상대 팀장
※ 자세한 내용은 붙임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