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국가융합기술 청사진「NBIC 국가융합기술지도」마련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0-06-08
- 등록일 2010-06-08
- 권호
- 미래 선도 원천융합기술 발굴을 통한 세계 5위권 융합기술 강국도약 -
□ 고효율ㆍ저공해 자동차, 가상현실, 라이프 로봇, 고령친화 의료기기 등 미래 성장 동력 창출에 필요한 국가차원의 핵심 융합기술 청사진이 마련된다.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IT혁명 이후 미래 글로벌 시장을 주도할 융합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으로, 2020년까지 국가적으로 육성해야 할 융합기술의 추진 목표 및 거시적 방향을 담은「NBIC 국가융합기술지도*」를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수립하였다고 밝혔다.
* NT, BT, IT, CS(인지과학) 기반의 융합기술 종합 이정표
□ 금번 NBIC 기반 국가융합기술지도는 2008년 11월에 수립된「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09~’13)」의 후속조치 일환으로 마련되었으며, 바이오ㆍ의료, 에너지ㆍ환경, 정보통신 등 3대 분야의 15개 우선추진과제 및 70개 원천융합기술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국가 융합기술개발 추진전략과 정책방향을 설정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국내 융합기술은 태동기 단계로 선진국 최고기술 수준 대비 60% 수준에 불과하고, 융합기술 개발도 부처간 경쟁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어 체계적인 추진전략 마련과 선택과 집중을 통한 방향성 설정 등의 필요성이 지적되어왔다.
□ 그간 산학연 민간 전문가 등 30명으로 융합기술지도 발전 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국가융합기술지도 시안을 마련, 공청회(‘09.9) 개최 등을 통해 수렴된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였으며,
○ 아울러, 2040년 발전된 한국의 모습을 전망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과학기술 미래비전에서 도출한 핵심기술 중 2020년까지 우선 추진할 요소기술들을 국가융합기술지도를 통해 구체화시켰다.
【 융합기술지도 세부내용 】
□ 금번 국가융합기술지도에는 「신성장동력 비전 및 발전전략」, 「녹색기술 연구개발 종합대책」, 「과학기술기본계획」 등 국가 주요 R&D 계획상의 중점과제 중
○ 전략적으로 투자ㆍ관리해야 할 과제를 시장성ㆍ성공가능성 등 우선순위 분석을 통해 바이오ㆍ의료/에너지ㆍ환경/정보통신 분야의 15개* 우선추진과제로 유형화하고,
* 바이오ㆍ의료 기반 (바이오 의약품, 바이오 자원ㆍ신소재장기 등 5개 과제), 에너지ㆍ환경 기반 (스마트 상수도 및 대체수자원, 바이오 에너지 등 5개 과제), 정보통신 기반 (융합 LED, 웰페어 융합 플렛폼 등 5개 과제)
○ 우선추진과제별 핵심기술의 기술수준 및 SWOT 분석을 거쳐 70개 원천융합기술을 도출하는 한편,
○ 이들 기술이 기존 국가과학기술 표준분류체계의 NT, BT, IT, ET, CS 기술과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 아울러, 향후 2020년까지 인력ㆍ인프라ㆍ기술 등의 환경ㆍ전망 분석을 통해 원천융합기술별 추진목표를 설정하고 원천융합기술 개발을 통해 기대되는 주요 전략제품ㆍ서비스의 육성전략 등을 함께 제시하였다.
【 융합기술지도 활용 】
□ 교과부는 향후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회에 상정ㆍ확정한 후본 국가융합기술지도의 체계적 추진을 통해 세계 5위권 융합기술 강국으로 도약하는 동시에, 2020년경 핵심 및 기술ㆍ시장선점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선진국대비 기술 수준을 최대 90%까지 향상시키고 라이프 로봇분야 세계시장 점유율 15% 확보 및 연간 $15억의 생산규모를 달성시킬 예정이다.
○ 각 부처별 2011년도 국가융합기술발전 시행계획에 반영하여 융합기술 정책방향을 설정하는 한편, 2013년까지 융합기술 분야 R&D 예산을 약 5조9000억원(‘09년, 1조 5800억) 규모로 확대하는 등 재원배분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 아울러, 부처별 신규 R&D 사업에서 새롭게 발굴해야할 융합기술을 제시하고 필요시에 부처간 공동기획을 유도하는 등 원천융합기술 조기확보 전략의 추진지침으로 적극 활용하고,
○ 원천융합기술별 수요에 적합한 전문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다학제 학위과정 신설을 포함, 융합특성대학원 지정, 개방형 공동연구체계 구축 등 중장기적인 융합기술 인력 양성방안을 검토ㆍ추진할 예정이다.
□ 교과부 박항식 기초연구정책관은 “NBIC 국가융합기술지도의 70개 원천융합기술군은 앞으로 우리나라가 선택과 집중을 통해 개발ㆍ육성해 나갈 융합기술 방향을 처음으로 제시한데 큰 의미가 있으며, 향후 이를 토대로 핵심 원천융합기술에 대한 선제적 R&D 투자를 통해 자동차ㆍ반도체 이후 우리 경제를 이끌어 갈 융합기술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라고 밝혔다.
<자료문의> ☎ 2100-6842, 융합기술과장 임요업, 담당 : 사무관 조시훈
※ 자세한 내용은 붙임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