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SMART 사업 출자 협약 체결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0-06-15
  • 등록일 2010-06-17
  • 권호

원자력(硏), 한전, 포스코 등으로 구성된 SMART 추진체계 확정 

 

- SMART 사업 출자 협약 체결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 중인 중소형 원자로 SMART(100MW급) 개발 사업에 참여하게 될 민간 컨소시엄의 구성이 완료되어 사업 참여를 위한 출자 협약이 금일 체결되었다고 밝혔다.


 ○ 이번 협약을 통해 ‘50년까지 700여기 35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세계 중소형원자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개발 중인 SMART 사업이 본격적인 추진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박영준 국무총리실 국무차장, 김영학 지식경제부 제2차관이 참석한 가운데, 6월 14일(11시30분) 롯데호텔에서 개최된 SMART 사업 출자 협약식에서 앙명승 한국원자력연구원장과 김쌍수 한국전력 사장 등 컨소시엄 참여 13개 기업 대표는 각각 협약서에 서명했다.


 ○ 이번 협약을 통해 한전그룹(4社), 포스코그룹(4社), STX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대우건설, 삼창기업, 일진에너지 등 13개 기업은 “한전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주관하는 동 사업에 총사업비 1,700억원 중 1,000억 원을 출자하여 참여키로 결정했다.


 ○ 한전그룹이 총 510억원으로 가장 많은 지분을 구성한 가운데 포스코그룹 280억원, STX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이 각 60억원, 대우건설 50억원, 삼창기업과 일진에너지가 각 20억원을 출자할 예정이다.


※ 참여기업별 세부 현황은 첨부(한전 컨소시엄 구성 현황) 참고




□ SMART 개발 사업은 ‘08년부터 표준설계 사업에 대한 참여기업을 공모하였으나, 국제 금융위기로 인한 민간기업의 투자위축으로 참여기업이 결정되지 않아 사업추진에 애로가 있었다.


 ○ 그러나 이번 협약을 통해 한전 컨소시엄이 동 사업에 참여키로 결정함에 따라 사업추진에 더욱 탄력이 붙게 되었다. 특히 한국전력의 원전 수출역량, 포스코 등 민간기업의 사업능력을 활용함으로써 향후 SMART 수출에 큰 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금일 서명된 협약에 따라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한전 컨소시엄은 SMART 사업 추진체계를 확립하고, 성과물에 대한 소유권 등을 확정하였다.


 ○ 표준설계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주관하되 한국전력기술(플랜트종합설계), 한전원자력연료(핵연료설계), 두산중공업(기기설계)이 용역으로 참여하여 금년 말까지 완성할 계획이다.


 ○ 기술검증은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수행하며 현재 요소기술에 대한 개별 효과시험과 종합 검증시험을 수행 중에 있다.


□ 표준설계 결과물에 대해서는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한전 컨소시엄이 공동으로 소유권을 갖고, 기술검증 결과물은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단독으로 소유하게 되지만,


 ○ 기술개발 완료 후 국내건설과 해외 시장 진출 과정에서는 참여 기관이 적극 협조하여 차질 없이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 세계 중소형원자로 시장은 미 에너지부의 예측에 따라 오는 `50년까지 최대 350조원(약 700여기)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 SMART는 국제원자력기구(IAEA)로부터 기술적으로 가장 앞서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이에 따라 정부는 대형원전 건설비용의 재원조달에 어려움이 있거나 소규모 전력망 보유 국가를 중심으로 SMART 수출을 추진할 계획이다.


□ 그리고 지난 4월 구성한 타당성 검토 T/F*에서는 SMART의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내에 시범원자로 1기 건설에 대한 타당성을 적극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 한국전력 주도로 포스코, 한국원자력연구원, 학계 등 관련 전문가로 구성




<자료문의> 교육과학기술부 ☎ 2100-6659, 원자력정책과장 최종배, 사무관 이태용

한국원자력연구원 ☎ 042-868-8309, SMART사업관리부장 김긍구




※ 자세한 내용은 붙임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