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교과부-농식품부 MOU체결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0-06-25
  • 등록일 2010-06-25
  • 권호

- 교과부의 기초ㆍ원천연구 성과, 농식품부에서 산업화한다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와 농림수산식품부(장관 장태평)는 교과부의 기초ㆍ원천 연구 성과를 농식품부의 산업화 연구로 연계 지원하여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성과창출을 극대화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6월 25일(14:30, 코리아나호텔 7층) 양 부처 장관이 직접 참석하여 체결한다고 밝혔다.


 ○ 양 부처는 교과부가 창출한 BT분야 기초ㆍ원천 우수 연구 성과를 농식품부에서 이어받아 실용화ㆍ산업화 하고


 ○ 양 부처가 구축한 생명공학분야 인프라를 공동활용하여 연구개발 투자의 효율성을 제고시킬 계획이다.


 ○ 또한, 양 부처 산하 연구인력 교류를 활성화하고 신규사업 기획시 공동 참여하여 기초연구와 산업화 연구가 상호 연계 추진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양 부처는 금번 MOU의 실천을 위해 우선 교과부가 지원해 온 자생식물이용기술사업단(‘10.3 종료), 작물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11.3 종료 예정),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12.3 종료 예정) 등 3개 21세기프론티어사업단의 우수연구성과에 대해 후속지원을 하기로 MOU 체결직후 협약을 체결하고, 금년 하반기 중에 공동기획 실시 후 농식품부 예산으로 지원을 시작할 예정이다.


 




□ 그 동안 부처별로 유사한 사업에 중복투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처간 협력연구를 추진한 사례는 있었지만, 한 부처에서 창출한 우수 기초연구 성과를 다른 부처가 공식적으로 이어 받아 해당 분야의 산업화를 위해 후속 지원하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 교과부 안병만 장관은 "이번 협약으로 교과부에서 나온 우수한 농수산식품분야 기초ㆍ원천연구 성과의 원활한 후속지원 체계가 갖추어져 국가 R&D 생산성 및 효율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며, ”향후 다른 부처와도 이런 협력을 적극 추진하여 국가 신성장동력 창출에 기여할 방침“이라고 하였다.


 




<자료문의> ☎ 02-2100-6812~3, 미래원천기술과장 최원호, 사무관 도우동, 이상미


 




※ 자세한 내용은 붙임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