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OITA, 중국 500대 기업의 R&D투자 현황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0-06-29
  • 등록일 2010-06-29
  • 권호

 중국은 개혁·개방정책 이후 해외 선진기술을 도입하는 동시에 자체기술 개발에 대한 노력을 배가하면서 기업R&D투자도

 크게 증가하는 추세



 ○ 2008년 기업 R&D투자는 487억 달러로 국가 R&D투자(664억 달러)의 73.3%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32.3% 증가

 ○ 중국 500대 기업의 평균 R&D투자는 2004년 30백만 달러에서 2008년 98백만 달러로 동기간 3.3배  증가하였고, 매출액대비 R&D투자도 

   전년대비 0.02%p 증가한 1.34%


 중국은 종전의 생산위주 체제에서 R&D투자 확대를 통해 제품경쟁력을 강화하여 세계 수출시장의 선두자리 유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2009년 3분기 기준으로 세계 수출시장에서 점유율 1위(11.3%)를 차지

○ 10년간(2000~2009년) 업종별 연평균 수출증가율을 살펴보면 선박 37.3%,기타기계 24.6%, 전기전자 23.2% 등의 순이며, 관련분야

    R&D투자가 활발

  - 항공·우주비행·원자력과 선박·병기제조업의 평균 R&D투자(602백만 달러)는 전산업 평균 R&D투자(98백만 달러)의 6배 



 중국의 기업 R&D투자는 업종별·기업별로 투자가 골고루 분산되어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몇몇 업종(특히 전기전자)에 

 상위기업의 투자가 편중되어 있는 양상을 보임




○ 중국 R&D투자 상위 100개사의 투자규모는 337.6억 달러로 우리나라(147.2억 달러)의 2.3배에 달함

○ R&D투자 10억 달러 이상 기업은 우리나라가 3개사인 반면, 중국은 5개사

○ 업종별 R&D투자도 우리나라는 전기전자, 자동차 업종에 편중되어 있는 반면, 중국은 광업, 전기전자, 자동차, 서비스업 등 다양

  - 특히,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인 전기전자, 선박 등에 대한 R&D투자 증대는 지속적인 분석필요


 최근 중국정부는 질적성장으로의 전환을 촉구하며, 국유기업을 기반으로 시기적절한 R&D투자를 행하고 있어 산업전반의 

 기술력이 향상되고 있는 추세 


○ 종래 중국을 ‘세계의 제조공장’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기술경쟁국으로서 견제해야 할 것이며, 우리 기업은 체계적인 R&D투자를 통해

   글로벌시장에서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임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