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2010년 제21회 국제생물올림피아드(IBO) 개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0-07-12
  • 등록일 2010-07-12
  • 권호

전 세계 생명과학영재들의 축제, 창원대에서 열려



- 2010년 제21회 국제생물올림피아드(IBO) 개최, 7.11~18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 정윤)은 전 세계 생명과학 분야 영재들의 축제인 2010년 제21회 국제생물올림피아드(International Biology Olympiad, IBO)가 7월 11일부터 8일 동안 경남 창원대, 창원컨벤션센터(CECO) 등지에서 열린다고 발표하였다.


 ○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개회식(7.12 10:00, 경남 창원시 성산아트홀)에 참석하여 전 세계 60개국의 대표단을 환영하고, 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축하했다. 안병만 장관은 축사를 통해 과학에 대한 역량과 열정을 갖추고 미래 과학기술을 이끌어 나갈 예비 과학자들인 각국 대표 학생들을 격려하고, 그간 갈고 닦은 실력을 겨루며 세계 각국 친구들과 우정도 나누고 문화를 이해하는 기회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 개회식에는 이길재 IBO 조직위원회 위원장 등 대회 관계자, Poonpipope Kasemsap IBO 운영위원회 의장, 국회 배은희 의원, 정윤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 및 지자체와 학계 인사 등 내외 귀빈들이 함께 참석하여 대회 개최를 축하하고, 세계 과학영재들을 격려했다.


□ 국제생물올림피아드(IBO)는 국가를 대표하는 4명의 중ㆍ고생들이 참석하여 생명과학 분야의 실력을 겨루는 대회로 금번 대회는 역대 최대 규모인 60개국 233명의 학생들과 대표단 207명, 대회 운영위원 등 총 800여명이 참가한다. (’09년 일본 대회, 56개국 700여명 참가)


 ○ 동 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2006년 국내 유치 확정 이후, 교육과학기술부의 지원 아래 한국생물교육학회와 IBO 조직위원회를 중심으로 착실히 준비해 왔다.


 ○ 8일 동안 개최되는 이번 대회는 대회 공식 행사(개회/폐회), 생명과학 분야의 이론 및 실험 경시와 함께 각국 대표학생과 평가단들에게 우리나라의 문화와 산업을 홍보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짜여져 있다.


 ○ 또한, 평가단으로 참여한 생명과학 분야 세계 전문가들과 국내 전문가들의 교류를 통해 과학교육 등에 관한 협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 IBO는 1990년에 체코에서 제1회 대회를 개최하였으며, 우리나라는 1998년 제9회 독일 대회부터 참가하여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며, 4번의 종합 1위를 달성한 바 있다.


 ○ 이번 대회에는 강호감(경인교대) 단장, 하권수(강원대) 부단장과 함께 학생 4명이 대표로 출전하며, 특히 국내에서 개최되는 이번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 대표단 모두 한마음이 되어 그동안 착실히 준비해 왔다.


□ IBO를 비롯한 국제과학올림피아드는 세계의 과학영재들이 실력을 겨루는 장(場)일뿐만 아니라 상호 네트워킹으로 글로벌 마인드를 형성하는 좋은 기회이다. 특히, 이러한 국제과학올림피아드의 국내 개최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안목을 넓히고 국내 과학기술의 수준과 위상을 널리 알리는 좋은 계기이자, 우리나라 수학ㆍ과학교육 활성화와 창의적 과학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참고로 우리나라는 2000년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개최한 이후, 이번 대회를 포함 총 7개 분야 대회를 개최한 바 있다.




<자료문의> ☎ 02-2100-6293, 창의인재육성과장 이진규, 사무관 한성일

                 ☎ 02-2174-6633, 한국과학창의재단 영재교육지원실 이인우, 유소연

                 ☎ 010-3949-1377, 2010 국제생물올림피아드 조직위원회 이길재, 김희백




※ 자세한 내용은 붙임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