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그린나노기술개발에 추진 본격화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0-07-21
  • 등록일 2010-07-21
  • 권호

- 나노기술로 지구 환경과 에너지 고갈 문제 해결을 위한 해법 찾기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나노기술을 기반으로 지구온난화와 에너지 고갈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녹색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그린나노기술개발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 교과부에서는 ‘09년 「나노기초·원천중기전략(NT-743 Initiative)」을 수립하여 그린나노기술의 개념을 정립하고 국가가 향후 5년 동안 집중적으로 투자할 7대 중점분야 35개 그린나노 후보기술을 도출한 바 있다.


 ○ 상기 후보기술 중 시급성과 5년 내 가시화 될 수 있는 파급성을 갖춘 과제 3개를 금년도에 우선 선정하여 5년간 총 150억원을 투자 할 예정이다.


 ○ 본 과제들은 현재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을 통해 공모 중(7.12~8.12)에 있으며 선정평가를 거쳐 8월 중 연구책임자가 최종결정되고 9월 1일부터 연구를 착수하게 된다.



□ 금년도에 우선 추진되는 과제는 “반도체공정 기반 고효율 나노선 열전소자ㆍ모듈 기술개발", ”그린환경 공간 확보를 위한 바이러스 포집ㆍ제거용 나노 복합 소재 개발“, "하이브리드형 III-V 나노선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로 반도체ㆍ바이오ㆍ에너지 분야에 나노기술을 접목하여 기존기술의 한계를 돌파하는 원천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과제명



주요내용



기대효과



-  반도체공정 기반 고효율 나노선 열전소자?모듈 기술 개발



- 인간 신체열, 자동차 폐열 등의 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소자 개발



- 주변의 소멸되는 열을 활용하는 소규모 발전 시스템 개발 및 산업화 촉진



- 그린환경 공간 확보를 위한 바이러스 포집?제거용 나노 복합 소재 개발



- 병원성 바이러스를 효율적으로 포집/제거하여 그린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나노소재 개발



- 바이러스 없는 청정공간 확보로 국민보건건강에 기여



-  하이브리드형 III-V 나노선 효율 태양전지 개발



-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고 기존 Si 태양전지에 비해 40%이상 저렴한 나노선 기반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 개발



-  고효율ㆍ저비용 태양전지 개발로 태양전지 발전 산업의 가속화






□ 나노기술은 폭넓은 파급성으로 인해 21세기 과학기술을 선도할 핵심기술이자 에너지고갈 및 환경위기에 대응하고 녹색산업을 창출하여 지속 가능한 사회를 구현할 수 있는 최적의 기술로 평가 받고 있으며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선진국은 나노기술을 기반으로하는 그린기술에 집중 투자를 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10년간의 나노분야 기초ㆍ원천 연구개발 투자 및 인프라 구축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나노기술(세계4위, Lux Research, '07)과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본 사업을 통해  환경 및 에너지 분야 원천기술 확보 및 산업화 촉진으로 녹색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문의> ☎ 02-2100-6837, 미래원천기술과장 최원호, 사무관 도우동




※ 자세한 내용은 붙임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