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해외자문단 (International Tech. Advisory Board)” 출범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0-09-14
  • 등록일 2010-09-14
  • 권호



“세계 최고의 과학기술 석학들이 한국의 R&D 전략 같이 짠다.”


◈ 지식경제 R&D 전략기획단 산하 “해외자문단 (International Tech. Advisory Board)” 출범


 


<자문단 출범 배경>




□ 지식경제 R&D 전략기획단(지식경제부장관․황창규 공동 단장)은 국가 R&D의 “개방형 기술혁신(Open Innovation)”을 촉진하고, 우리나라의 R&D 체계를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ㅇ 세계 최고의 과학기술 석학들로 해외자문단(International Tech. Advisory Board)를 구성․운영하기로 하였음


   * 오픈 이노베이션 : 자기 산업과 타 산업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복합, 혹은 자기가 가진 역량과 기업, 학교, 연구소 등 외부 리소스와의 융복합을 통해 전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내는 일종의 혁신 활동


 


<자문단 구성 및 특징>


□ 금번 자문단은 융복합, 부품소재, 정보통신, 주력산업, 에너지 등 5개 분과로 노벨상 수상자 2명을 포함한 해외인사 7명, 해외에서 활약 중인 세계 최정상급 한국계 과학기술인 8명 등 총 15명으로 구성하였음


 ㅇ 해외 인사는 미국 일변도에서 탈피하여 러시아, 프랑스 및 일본에서 각 1명이 포함되어 글로벌 시장을 타켓으로 하는 R&D 전략기획단의 전략 방향 실현에 입체적․실질적 기여가 기대됨


    * 해외 인사 : (미국) 4명, (러시아) 1명, (프랑스) 1명, (일본) 1명

 ㅇ 또한, 다양한 연령대로 구성되어 과거의 성공 사례는 물론 해외 실패 사례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미래 R&D 전략 방향 수립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도출할 것으로 기대됨


    * 자문단 연령대 : (40대) 4명, (50대) 2명, (60대) 6명, (70대) 2명, (80대) 1명




<자문단 운영방안 및 기대효과>




□ 앞으로 지식경제 R&D 전략기획단은 「산업․기술혁신 비전 2020」 수립, 「미래산업 선도기술개발사업」의 기술 과제 선정 등 주요 지식경제 R&D 현안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수시로 자문을 받고,


 ㅇ 매년 1~2회 자문위원들이 참석하는 (가칭) 「KRDF(Korea R&D Forum)」을 개최하여 우리나라의 R&D를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계기로 활용할 계획임


□ 황단장은 “철저한 Market Pull 관점에서 자문단의 뛰어난 학문적 업적을 우리나라의 대형 미래 먹거리로 승화시키기 위해 자문위원들의 폭넓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고


 ㅇ 분과內 뿐만 아니라 분과間 긴밀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전략기획단 전체 관점에서 최대한의 성과를 유도하겠다“고 밝힘


□ 이를 위해 해외 자문단과는 兩國의 동반 성장이 가능한 메타 플랜(Metaplan) 공동 수립, 兩國 공동의 노력으로 신흥국 혹은 제 3세계 발전에 기여 가능한 사업 기회 발굴 등 상호 'Win-Win' 가능한 전략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임



* 붙임 : 보도자료 전문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