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제2차「연구성과 관리ㆍ활용 기본계획(’11~’15)」공청회 개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0-09-15
- 등록일 2010-09-16
- 권호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제2차 「연구성과 관리ㆍ활용 기본계획(’11~’15)」수립을 위한 공청회를 15일 오후2시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개최한다.
□ 정부는 국가 R&D 투자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지난 2006년부터 5년마다 「연구성과 관리ㆍ활용 기본계획」을 수립ㆍ추진해 왔다.
○ 올해 1차 기본계획이 종료됨에 따라 그간의 성과 및 보완점, 환경변화 등을 반영하여 향후 5년간 성과관리?활용 정책을 이끌어 나갈 제2차 기본계획을 새롭게 마련 중이다.
□ 이번 공청회는 박구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기획본부장이 2차 기본계획(안)에 대해 발표하고 박재근 한양대 산학협력단장을 좌장으로 언론 및 산ㆍ학ㆍ연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패널토론과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 2차 기본계획(안)은 ▲성과 활용을 고려한 연구기획 체계의 구축 ▲성과활용 촉진을 위한 평가제도 개선 ▲연구성과 활용ㆍ확산 사업의 확대 ▲성과관리자의 전문성 강화 및 연구자 인식제고 ▲성과 활용ㆍ확산 전문조직 역량강화 ▲연구성과 관리ㆍ활용 시스템의 고도화 ▲연구성과 관리ㆍ활용 제도의 선진화 등 7개 중점 추진과제를 담고 있다.
□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2015년까지 7개 중점 추진과제를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OECD 30개국 중 우리나라의 지식창출* 수준을 10위권 내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 이를 위해 2015년까지 △정부 R&D 예산 중 성과활용ㆍ확산 예산 비율을 현재 1.3% 수준에서 3% 까지 끌어 올리고 △ 주요 대학ㆍ출연(연)의 성과확산 전담조직의 전문인력 확보율을 17% 수준에서 30% 수준까지 높이며 △연구성과관리 우수기관 인증을 통해 성과관리?활용이 우수한 기관을 20개 기관 이상 발굴한다는 목표다.
* 우리나라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을 종합적으로 진단ㆍ평가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는「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의 14개 항목 중 하나
- 연간 특허수, 연간 연구개발투자대비 특허수, 연구원 1인당 SCI 논문수 및 인용도 등 3개 지표의 합으로 국제순위 산출
*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는 OECD 30개국을 비교해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COSTII)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며 우리나라의 지식창출 수준은 2009년에 OECD 30개국 중 16위를 차지
□ 김영식 과학기술정책실장은 “정부 R&D 투자가 매년 10% 이상 확대되고 있는 만큼 이에 부응하는 최적의 기본계획을 마련하여 우수 R&D성과가 체계적으로 관리ㆍ활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 고 밝혔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제기되는 각계의 의견을 반영해 기본계획 최종안을 마련하여 오는 10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 상정ㆍ확정할 예정이다.
<자료문의> ☎ 02-2100-6596 지식재산관리팀 최준환 과장, 김보현 사무관
☎ 02-589-224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제도실 김홍범
※ 자세한 내용은 붙임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