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IET, 여성과학기술인력 활용 확대를 위한 정책방향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산업연구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0-08-18
- 등록일 2010-09-24
- 권호
□요약
본 연구에서는 여성과학기술인력 활용 확대를 위한 정책이 ‘일-가정 양립’ 고용환경 개선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음을 밝힌다. 청년층 여성인력의 질이 급속하게 높아지고 있고 노동시장에서의 성과가 개선되고 있기 때문에 채용·승진목표제와 같은 적극적 고용개선 조치뿐만 아니라 유연근무제등과 같이 여성인력의 생산성을 높여주기 위한 정책도 필요하다. 29세 이하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는 그 전 세대의 그것에 비해 크게 개선되었다. 예를 들어 연구개발인력 정규직 중 여성비율은 30대 연령층에서는 8.2%에 불과한데 비해, 청년층에서는 24.3%이다.
기업의 여성과학기술인력 지원 전략을 커리어 개발, ‘일-가정 양립’ 지원 등 두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볼 경우, 기업은 여건과 경영목표에 맞추어 다양한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커리어 개발은 경영진의 조직개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향이 강한 반면,‘ 일-가정 양립’은 조직 아래로부터의 공통된 합의가 기반이 될 때 쉽게 성취된다. 단, 커리어 개발 지원전략과 ‘일-가정 양립’ 지원전략은 상호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정부가 ‘일-가정 양립’ 고용환경 조성을 지원하는 것은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여성과학기술인력의 커리어 개발의 토대가 될 수 있다.
□목차
1. 서론: 일-가정 양립 고용환경 개선정책의 필요성
2. 양성채용목표제와 정책효과의 오버슈팅-조정
3. 여성과학기술인력 양성 및 활용 추이
4. 기업의 여성과학기술인력 활용 모범사례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