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한국, GDP 대비 연구개발투자 OECD 3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0-10-01
  • 등록일 2010-10-05
  • 권호

- 2009년 총 연구개발비 37조 9,285억원, 총 연구원수 323,175명 -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이주호)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원장:이준승)은 전국의 공공연구기관, 대학, 기업 등 25,692개 기관을 대상으로 2009년도 연구개발비, 연구원 현황 등을 조사한 「2010 연구개발활동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 조사 결과, 우리나라의 2009년 총 연구개발비는 37조 9,285억원으로 전년 대비 9.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총샌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3.57%로 전년도 3.36%에서 0.21%p 증가하였는데, 이는 OECD 국가 중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연구개발비의 절대규모 면에서는 미국이 우리나라의 13.4배, 일본이 5.7배로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 OECD 국가 순위 : 1위 핀란드(’09년 4.01%), 2위 스웨덴(’08년 3.75%)


[그림 1] 연도별 연구개발비



[표 1] 총 연구개발비 국제 비교



























































구 분



미국


(2008)



일본


(2008)



독일


(2008)



중국


(2008)



프랑스


(2008)



영국


(2008)



한국


(2009)



스웨덴


(2008)



핀란드


(2009)



이스라엘


(2008)



연구개발비(억달러)



3,981.9



1,681.3



964.9



664.3



577.5



471.4



297.0



179.6



95.2



98.3



배율



13.41



5.66



3.25



2.24



1.94



1.59



1.00



0.60



0.32



0.33



GDP 대비(%)



2.77



3.42



2.64



1.54



2.02



1.77



3.57



3.75



4.01



4.86




자료원 :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2010-1


연구개발비 관련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개발비 재원은 정부‧공공부문이 10조 8,889억원, 민간‧외국이 27조 396억원을 투자하였으며, 비중은 29:71로 다소 개선되었다.(’08년 27:73)


주체별로는 기업이 28조 1,659억원(74.3%), 공공연구기관과 대학이 각각 5조 5,584억원(14.7%), 4조 2,043억원(11.1%)을 투자하였다.


우리나라의 민간‧외국재원 및 기업체가 사용한 연구개발비 비중은 미국, 프랑스, 영국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재원 및 주체별 연구개발비 비중 국제 비교





































구 분



미국


(2008)



일본


(2008)



독일


(2007)



중국


(2008)



프랑스


(2008)



영국


(2008)



한국


(2009)



민간․외국재원 비중(%)



67.3



78.6



71.9



72.9



58.5



63.1



71.3



기업체 사용 연구개발비 비중(%)



72.6



78.5



69.9('08)



73.3



63.0



62.0



74.3




자료원 :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2010-1


 


기초 연구개발비 비중은 18.1%(’08년 16.1%)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응용 및 개발 연구개발비 비중은 각각 20.0%, 61.9%로 나타났다.


※ 주요국 기초 연구개발비 비중


프랑스(’07년 25.1%), 미국(’08년 17.4%), 일본(’07년 11.6%), 중국(’07년 4.7%)


기술분야별로는 환경기술(ET) 분야 투자 비중이 증가(8.5%→9.1%)하였고, 정보기술(IT) 비중은 다소 감소(33.8%→32.6%)하였다.


 


연구개발인력 관련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2009년 총 연구원 수는 전년대비 7.7% 증가한 323,175명으로 집계되었다. 경제활동인구 천명당 상근 연구원 수는 전년도 9.7명보다 증가한 10.0명으로 OECD 국가 중 7위 수준이다.


* 1위 핀란드 15.0명(08년), 2위 아이슬란드 12.5명(08년), 3위 덴마크 10.6명(08년), 4위 일본 10.3명(08년), 10위 미국 9.2명(07년)


 


[그림 2] 연도별 연구원 수



전체 연구원 중 기업체에 근무하는 연구원 수는 210,303명(65.1%), 대학은 88,554명(27.4%), 공공연구기관은 24,318명(7.5%)으로 나타났다.


박사학위 연구원은 76,480명(23.7%) 이었으며, 그 중 66.1%인 50,566명이 대학에 소속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연구원 수는 전년대비 9.4% 증가한 51,073명이었으며, 비중은 15.8%(’08년 15.6%)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주요국 대비 아직 낮은 수준이다.


[표 3] 여성 연구원 비중 국제 비교































구 분



영국(2007)



일본(2008)



독일(2007)



프랑스(2006)



한국(2009)



여성 연구원 수



138,781



116,106



101,695



73,763



51,073



여성 연구원 비중(%)



36.6



13.0



23.2



27.4



15.8




자료원 :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2010-1


기업부문 주요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중소․벤처기업의 연구개발비는 8조 1,959억원으로 기업 전체 연구개발비의 29.1%를 차지하고 있으며 ’04년(20.9%) 이후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제조업부문 연구개발비는 기업 전체의 86.4%인 24조 3,345억원투자되었으며, 서비스업부문 연구개발비 비중은 전년대비 1.5% 증가한(9.4%) 2조 6,537억원이 투자되었다.


하지만, 서비스업부문 비중은 영국, 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주요국 서비스업부문 연구개발비 비중 비교























영국(2007)



미국(2007)



프랑스(2007)



독일(2007)



일본(2007)



한국(2009)



58.6



29.5



11.1



10.6



10.3



9.4




자료원 : OECD, R&D Statistics


 


□ 이번 연구개발활동조사 결과,


글로벌 경제위기 속에서도 정부의 R&D 투자 확대 노력으로 우리나라의 연구개발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정부공공재원은 전년대비 17.7%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 또한, 미래 국가경쟁력의 핵심인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연구개발비 및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과 연계된 환경기술(ET) 분야 투자가 증가세를 보였다.


향후 정부는 지속적으로 R&D 투자 확대 및 이의 효율적 집행을 위한 전략적인 투자 배분 노력을 경주할 것이다.





< 자료문의 > ☎ 02-2100-6682, 과학기술기반과장 사상덕, 사무관 허영주

                 ☎ 02-589-289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보분석실장 이정재, 부연구위원 김용희




※ 자세한 내용은 붙임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