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3차 WCU 사업 최종 선정 결과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0-10-26
  • 등록일 2010-10-27
  • 권호

- IT(Software) 분야 : 카이스트(맹성현 교수) 사업단 선정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지난 3월 19일 공고한 ‘3차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World Class University : WCU) 육성 사업’에 최종 선정된 2개 사업단을 발표하였다.


 ㅇ新성장 동력 및 융복합 분야의 새로운 학과ㆍ전공 개설을 지원하는 1유형 과제에 IT(Software)분야에는 카이스트(맹성현 교수) 사업단이, 원자력에너지시스템 분야에는 포항공대(김무환 교수) 사업단이 최종 선정되었다.


□ 최종 선정된 2개 과제는 한국연구재단의 주관 하에 지난 2개월여 동안 진행된 3단계 심사(1단계 전공패널심사, 2단계 해외동료평가, 3단계 종합심사)를 거쳐 총 9개 과제* 중에서 선정(선정률 22%)되었다.


  * 원자력에너지시스템 분야 3개 과제, IT(SW)분야 6개 과제


 ㅇ이 중 해외동료평가(Int'l Peer Review)는 해외학자들에게 IT(SW)와 원자력에너지시스템 분야에서 국내 대학의 국제화 역량 등을 홍보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원자력에너지시스템 및 IT(SW) 분야 새 전공ㆍ학과 신설>


□ 3차 WCU 사업은 최근 원자력에너지 및 IT(SW)가 미래 국부의 원천으로 부상함에 따라 동 분야의 세계적 연구 선도 및 고급 인력양성을 위해 추진되었다. 


 ㅇ 동 사업을 통해 ’11학년도 1학기부터 카이스트에는 웹 사이언스 전공*이, 포항공대에는 첨단원자력공학부가 개설되며, 매년 100명 이내의 대학원생(석ㆍ박사)이 양성될 예정이다.


   * 웹 사이언스(Web Science) 전공 : 웹에 대한 학문적 이해 및 발전을 선도하고, 미래 지향적 연구를 수행하여, 웹 중심의 소프트웨어 기술의 다양성과 역동성에 어울리는 창의적 인재 육성 지향


 ㅇ 이를 통해 차세대 원전 개발 등 수요가 급증하는 원자력 연구개발 우수 인력을 육성함과 동시에, IT 인력양성 패러다임을 기존 HW에서 SW중심으로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우수 학자를 유치하여 교육 및 연구 진행 >


□ 또한 우수 해외 학자가 신규 개설되는 전공ㆍ학과에 전일제(Full-time) 교수로 채용되어 국내교수와 공동연구 및 강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ㅇ카이스트 사업단은 소프트웨어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Rothermel 교수(로랜스 버클리 연구소* 소속) 등 웹 분야의 우수 해외 학자 5명을 유치할 계획이며,


   * LBNL(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 미국 에너지부 산하의 세계적인 종합 연구소(에너지?환경?나노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기초 연구 수행), 노벨상 수상자 11명 배출


ㅇ 포항공대 사업단은 Univ. of Michigan 대학에서 원자력 학과장을 지내며 동 학과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올려놓은 John Lee 교수 등 7명의 우수 해외 학자를 유치할 예정이다.


□ 국내 및 해외 우수 학자 간 공동연구 활성화는 국제적 연구 네트워크 강화로 해당 사업단의 연구역량을 글로벌 수준으로 도약시킬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함과 동시에,


 ㅇ 우리 학생들의 국제화 및 연구 역량 제고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계획 >


□ 최종 선정된 과제의 사업비는 금주 내로 대학(사업단)에 지급될 예정이다.


 ㅇ 각 사업단은 올해 10월부터 3년간 총 약 83억원(연간 약 28.4억원(카이스트) 26.8억원(포항공대),  간접비 포함)*을 지원받는다.


     * 연차 및 중간평가 등을 통해 지원 금액이 변경될 수 있음


    ※ ’12년 중간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예산의 범위 내에서 추가 지원 여부(’13~’14년) 결정


 ㅇ 사업비 지급 시, 대학 총장, 연구책임자 및 한국연구재단 간 협약 체결을 통해 대학(사업단)의 이행사항이나 성과목표를 명시하여 관리해 나감으로써 대학과 연구자들의 책무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자료문의> ☎ 02-2100-6873, 학술진흥과장 박영숙, 사무관 장세은

                     ☎042-869-6250, 한국연구재단 본부장 배영찬, 단장 임종건, 팀장 우정표




※ 자세한 내용은 붙임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