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2018년, 서비스로봇 산업 육성을 통한 세계 3대 로봇 강국 실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0-12-09
  • 등록일 2010-12-10
  • 권호

2018년, 서비스로봇 산업 육성을 통한 세계 3대 로봇 강국 실현


【 서비스로봇 산업 발전 전략 】


 - 범정부 차원의 로봇 시범사업 등 서비스로봇 융합 新시장 창출을 위한 10대 전략 마련


 - '18년 서비스로봇을 자동차, 반도체를 이을 차세대 일등산업으로 육성

세계 로봇시장 점유 규모를 現 10억불에서 200억불로 20배 확대

 


□ ’10.12.9일 정부는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세계 3대 로봇 강국 달성을 위한 방안으로 서비스로봇 산업 발전 전략을 발표함


 ㅇ 지식경제부(장관: 최경환)는 新시장 창출 10대 전략을 통해 현재 선진국과 2.5년 정도 격차가 있는 핵심로봇 기술수준을 2018년까지 선도국으로 끌어올리는 등 로봇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시함



 ㅇ 이를 통해 2009년 10% 수준에 불과한 세계 로봇시장 점유율을 2018년까지 20% 수준으로 확대하여, 서비스로봇산업을 융합 新성장산업의 첨병, 수출 효자산업으로 적극 육성할 계획


 

□ 정부가 동 전략을 마련하게 된 배경은 그간 「지능형 로봇 촉진법」 제정(’08.3월),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 수립(’09.4월) 등 적극적인 육성정책과 기술개발 노력 등으로 국내 로봇산업 경쟁력이 꾸준히 향상되어 왔으나,


  ㅇ 현재 제조용 로봇이 주를 이뤄온 세계 로봇시장이 점차 서비스로봇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전망되어, 범정부 차원의 육성 전략 수립이 시급해졌기 때문임


* 붙임: 보도자료 전문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