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중기청, 2011년도 업무보고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중소기업청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0-12-16
- 등록일 2010-12-21
- 권호
-중소기업 역량 강화, 다같이 발전하는 대한민국-
□ 중소기업청(청장 김동선)은 지식경제부와 함께12.15(수) 오전 8시부터 청와대 영빈관 1층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2011년도 부처 업무보고회를 개최하고,
2011년도 4대 정책과제로서
▶ 중소기업 역할 제고 및 핵심역량 강화,
▶ 공정한 기업환경 조성,
▶ 소상공인 자생력 제고,
▶ 일자리 창출 및 창업 활성화를 보고하였다.
□ 중소기업청은 중소기업의 역량강화와 동반성장을 위해 다음의 과제를 중점 추진한다.
①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대책의 지속 추진
② R&D의 60%, 녹색 등 8대 중점분야에 집중 지원
③ 수출유망 중소기업 2,000개 집중 육성, 글로벌 수출기업화
④ 나들가게 3,000개, 경쟁력 있는 전통시장 500개 선별·중점 육성
⑤ 청년 기업가정신재단, 청년창업사관학교 설립으로 청년 CEO 양성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대책의 지속 추진
ㅇ 지난 9월 발표된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추진대책」의 후속조치로
- 「중소기업 원가절감 인증제도」 도입, 「매출채권보험담보대출제도」(1조원) 도입, 「민·관 R&D 협력펀드」 조성(2,000억원) 등을 추진하며,
- 내년 6월에는 「중소기업 해외시장 동반진출 대책」을 마련하여 대·중소기업간 실질적인 협력을 강화한다.
ㅇ 또한, 중소기업이 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중소기업 적합업종」이 내년 상반기 민간주도로 「동반성장위원회」에서 선정되면 중기청 고시로 지정하고,
- 해당 업종에 대한 자율적 진입자제 및 사업이양을 유도하며, 중소기업의 R&D, 생산성 향상 등 경쟁력 강화를 지원한다.
ㅇ 중소기업계는 자구노력 강화 차원에서 중소기업중앙회를 중심으로 업종별 「현장 원가절감모델」을 발굴·확산하고,
- 회계·세무사회 등과 공동으로 「중소기업 전용 회계기준」을 마련하여 회계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는 한편,
- 사회적 역할을 다하기 위해 「3勸 3不」 운동을 전개한다.
* (3권) 인재채용, 환경개선, 혁신경영 (3불) 임금체불, 인권침해, 조세포탈
- 중소기업중앙회는 이러한 중소기업들의 자구 노력 이행 실태를 점검하여 내년 5월 ‘중소기업 주간’에 「자구노력 중간평가대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나노 등 8대 중점분야에 R&D의 60%, 수출유망, 일자리 창출 등 정책목적성이 높은 분야에 정책금융의 50% 집중 지원
ㅇ ‘11년 중소기업 전용 R&D 지원 규모는 6,288억원으로서 금년에 비해 12% 증가하였다. 중기청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중소기업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녹색·나노소재 등 8대 중점분야*에 R&D의 60%인 3,740억원을 집중 투자한다.
* 6대 제조기반기술, 화학소재공정, 그린 IT, 차세대 조명, 신재생에너지, 바이오·의료, 나노소재부품, 지식서비스
ㅇ 또한 ‘11년 신용보증 및 정책자금(총 57.4조원)의 51%인 29조원을 정책목적성이 높은 분야*에 집중할 계획이며,
* 녹색·첨단산업, 수출유망, 일자리창출 등
- 민간자금의 중소기업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 시중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확대, 외국과의 공동투자펀드 조성(1.5억 달러), 대기업의 협력사 지원펀드 조성 확대도 추진한다.
수출유망 중소기업 2,000개 집중 육성, 글로벌 수출기업화
ㅇ 내수기업을 수출기업화(1,300개사)하고 2,000개 수출유망 중소기업을 집중 육성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비중을 금년도 32%에서 ‘13년까지 35% 수준으로 향상시킨다.
ㅇ 이를 위해 한·EU FTA, 한·미 FTA, 원전수출 등을 적극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지원을 주력 수출시장(미국, 일본, 중국), 전략적 협력시장(UAE, 이스라엘, 아프리카), 신수요 창출시장(인도, 러시아, 브라질, 인니) 등 타깃시장에 따라 차별화하고,
- 중국 알리바바닷컴 등 글로벌 B2B 사이트 등록 지원 등 온라인 수출마케팅을 활성화한다.
* 붙임 : 보도자료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