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글로벌 박사 양성 적극 나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1-01-13
- 등록일 2011-01-18
- 권호
- '글로벌 박사 펠로우십(Global Ph.D. Fellowship)' 첫 시행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직무대행 김병국)은 올해 ‘글로벌 박사 펠로우십(Global Ph.D. Fellowship)’을 신규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 동 사업은 국내 대학원에 재학 중인 박사과정생이 학비와 생활비 걱정없이 학업과 연구에 전념하여 미래의 국부를 창출할 수 있는 박사급 고급 두뇌로, 나아가 노벨상 후보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는 국가 핵심 과학기술인재 양성 프로그램이다.
○ 현재 우리나라 대학원 박사과정생은 과다한 연구프로젝트 참여*, 학업 시간 부족** 등으로 인하여 학업과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공계 박사과정생(KISTEP, 박사과정 설문조사, '09) : 3개이상 33.5%
** 학업시간(KISTEP, 박사과정 설문조사, ‘09) : (매우) 충분 21.1%, (매우) 부족 49.2%
○ 우수한 박사 양성을 위한 국가차원의 지원이 절실하여 학생 개인에게 직접 지원하는 Global Ph.D. Fellowship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한편, 정부는 동 사업을 시행함으로써 지금까지 분산되어 있던 이공계 인력양성 체제를 GPS(Global Ph.D. Scholarship) 시스템*으로 통합 구축하고 학부생부터 국가 핵심 과학기술인재를 전주기적으로 양성하는 경력단계별 지원시스템을 완성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 GPS 시스템은 학부과정에서는 대통령 과학장학생, 대학원과정에서는 글로벌 박사 펠로우십, 박사후 과정에서는 대통령 Post-Doc. 펠로우십을 지원하여 단절없이 학업?연구에 몰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ㆍ'11년 대통령과학장학생(554명), 글로벌박사펠로우십(시범, 300명), 대통령 Post-Doc. 펠로우십(시범, 15명)
○ 금년에 본격적으로 시행하는 Global Ph.D. Fellowship은 GPS 시스템의 중심축(Pivot)으로써 이공계 위주의 국가 핵심 과학기술인재 양성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첫 시행하는 Global Ph.D. Fellowship의 주요내용은,
○ (신청자격 및 방법) 국내 대학원 박사과정(석박사통합과정 포함)에 2011년 3월 입학 예정자로서, 학부성적 및 공인영어시험 성적이 각각 일정 수준* 이상인 자 중에서 공개경쟁을 통해 선발한다.
* 학부성적 : 4.3/4.5만점 기준 3.20/3.45이상, 공인영어시험 성적 : TOEFL iBT기준 80점, TEPS 650점 이상 등
○ (선정절차) 해당 학문분야에서 탁월한 역량을 보유하거나 잠재적인 발전 가능성이 높은 핵심인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요건심사 ⇒ 서면평가⇒ 면접평가의 3단계 절차로 이루어진다.
- 서면평가는 학업성적(학부), 전공기초능력 및 이해도, 연구실적, 학업(연구)계획을 심사하며,
- 면접평가시에는 WCU 참여 해외학자 등 국내외 최고석학으로 구성된 평가단이 영어로 진행되는 프리젠테이션, 인터뷰를 통해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 국제적 소통능력, 리더쉽 등 질적인 요소 중심으로 평가한다.
○ (선정 인원 및 지원내용) 엄격하고 공정한 3단계 평가절차를 거쳐 선정된 박사과정생 300명에게는 연 3,000만원(월 250만원)씩 2년 동안* 6,000만원까지 지원하고, 지원금은 등록금, 생활비, 단기 해외연수비용(단, 어학연수비용은 사용 불가) 등으로 자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 2년 지원 종료 후 성과를 평가하여 추가 3년까지 지원 가능
- 학문분야별 선발인원은 응시인원 및 지원비율 등을 고려하여 별도로 구성된 G-Ph.D. 지원위원회(‘11. 1월 말 구성 예정)에서 최종 심의를 거쳐 확정할 예정이다
○ (지원조건) 선정된 학생은 수혜기간 중 전업(Full-time) 학생으로서의 자격을 유지해야 하며, 정부 또는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각종 장학금(BK21 장학금 등)을 중복 수혜 받아서는 안된다.
○ (성과 관리) 수혜 학생은 1년 뒤 학업 및 연구 진척도(Research Progress Report)를 제출하고 발표하여, 학업성과가 현저히 미흡하거나 목표달성이 불가능하다고 판정받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계속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지원기간 종료 후 평가를 통해 우수한 학생에게는 우선적으로 추가(연장) 지원 기회를 부여하고, Post-Doc. 선발시에도 인센티브 제공 등 계속적인 관리를 할 계획이다.
<자료문의> ☎ 02-2100-6604, 교과부 학술진흥과장 박영숙, 사무관 조재익, 양영준 ☎ 042-869-6251, 한국연구재단 연구진흥본부장 배영찬, 단장 유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