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2011년, 기초 원천, 거대과학 R&D에 총 1조 9,775억원 투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1-01-13
- 등록일 2011-01-18
- 권호
- 2011년 교과부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 확정, 전년대비 11% 투자 증가-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1.12(수) 「연구개발 종합심의위원회」(공동위원장: 조무제 울산과기대 총장, 김창경 제2차관)를 개최하고, 「2011년 교과부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을 확정」하였다.
○ 종합시행계획 대상사업의 총 투자규모는 1조 9천775억원으로, 기초·원천연구개발사업에 1조3,651억원, 원자력ㆍ우주 등 대형ㆍ융복합 사업에 5,204억원, 과학기술국제화사업에 92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 사업구분 및 예산 현황 > (단위: 억원)
구분 |
사업명 |
사업 목적 |
예산 |
||
’10 |
’11 |
증감(%) |
|||
기초ㆍ원천 |
기초연구사업 |
창의적ㆍ도전적 기초연구를 통한 국가 과학기술역량 기반확충 |
8,385 |
9,451 |
1,066(12) |
원천기술개발사업 |
주요 전략분야 핵심원천기술 확보 |
3,749 |
4,200 |
451(12) |
|
대형ㆍ융복합 (거대과학) |
거대과학연구개발사업 |
인공위성 및 발사체, 핵융합 대형 융복합 장치개발 및 기술 확보 |
2,672 |
2,920 |
248 |
원자력연구개발사업 |
미래 원자력 기술 개발 |
2,069 |
2,284 |
215(10) |
|
국제화 |
과학기술국제화사업 |
해외 우수연구자원 효율적 활용 |
822 |
920 |
98 |
□ 2011년 교과부 기초연구사업 예산은 전년대비 12.7% 증액된 9,451억원으로, ▲개인연구(7,500억원) ▲집단연구(1,202억원) ▲기초연구기반구축(495억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금년도 기초연구사업의 주요특징은 기초연구의 기반확대를 위한 개인기초연구의 확대, Post.Doc을 포함한 신진연구자에 대한 지원강화, 세계수준의 수월성 확보를 위한 우수연구집단의 육성이다.
○ 기초연구 기반이 되는 연구자 개인의 창의력 제고를 위해, ‘개인기초연구사업*’은 전년 대비 15.4% 대폭 증액된다.(‘10년 6,500억원→ ’11년 7,500억원)
* 연구자의 역량 단계에 따라 일반, 중견, 리더연구자 지원사업으로 구성
- 개인기초연구비 지원 확대로 이공계 교수의 개인기초연구사업 과제 수행비율은 2010년 4명당 1명에서 2011년 약 3명당 1명으로 확대된다.
* 이공계교수 개인 기초연구 수행비율 : (’10) 27.5% →(’11) 30.5%
○ 박사후 연구원(Post-Doc.)을 포함한 우수한 신진연구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여 미래의 글로벌 리더급 과학자 육성 기반을 마련한다.
- 우수한 Post-Doc.에 대해서는 ‘초기 일자리와 독자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비’를 제공하는 대통령 Post-Doc. Fellowship 을 신규로 추진한다.('11년 15명)
* 인건비 포함 1.5억원/년, 5년, Global Ph.D System(아래 도식 참조)의 일환
|
|
|
|
|
|
|
|
|
|
|
|
학부 |
|
석박사 |
|
박사후 |
|
|
연구자 |
|
국가과학자 |
|
대통령 과학장학생 |
→ |
글로벌 박사 펠로우십 |
→ |
대통령 Post-Doc 펠로우십 |
|
→ |
신진, 중견, 리더 연구사업 |
→ |
국가과학자 지원사업 |
- 우수 신진교원(임용 5년 이내)에 대해서는 연구비와 지원기간을 대폭 확대 한 ‘우수 신진연구자’ 지원 유형을 신설한다.
* (’10) 0.5~1억원/연, 3년 → (’11) 2.5억원/연, 5년
- 박사후 연수자에 대하여는 지원금액을 상향조정하고, 연구개발의 글로벌 추세에 부응, 국외 연수자 지원규모를 확대하기로 하였다.
* 박사후 연수 지원금액 : (’10) 29백만원/연 → (’11) 32백만원/연
* 국외 연수자 지원규모 : (’10) 52명 → (’11) 150명 내외
○ 세계 수준의 창의성과 탁월성을 보유한 우수연구집단을 육성하기 위하여, 선도연구센터(1990년 착수) 등으로 성장한 연구집단 중탁월한 연구 역량을 가진 곳을 선발하여, 국가 브랜드형 글로벌 연구허브로 육성한다.(연 30억원 내외 지원, ‘11년 시범 선정)
기초연구실 |
→ |
선도연구센터 |
→ |
(가칭)세계 프리미엄급 |
교수 4~5명 |
|
교수 10명 내외 |
|
교수 20~30명 |
○ 또, 기초연구사업의 전략적 추진을 위해 「미래 100대 유망기초분야」를 발굴하여 전략연구사업(중견연구자 사업 내) 신규과제 선정 시 분야지정 공모 등 방식에 활용할 예정이다(‘11년 478억원)
※ 구체적인 사항은 붙임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문의> ☎ 02-2100-6823, 교육과학기술부 연구정책과 사무관 장인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