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2010년 주요국의 정책이슈 분석 총괄 발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11-02-14
- 등록일 2011-02-15
- 권호
“바이오·생명과학분야의 정책·연구·산업 동향 집중조명”
□ 교육과학기술부(이주호 장관)는 2010년도 국내외 과학기술정책과 연구동향을 알기 쉽게 종합 정리하여 주요 이슈별로 설명한 「글로벌 과학기술 정책동향·분석 2010-2011」을 선보인다.
○ 과학기술계의 내비게이션이라 할 수 있는 글로벌 과학기술 정책동향·분석은 글로벌 연구개발의 흐름을 파악하는 심층적인 정보를 웹사이트(http://www.now.go.kr)와 주간웹진(NOWZine) 형태로 널리 제공하여 과학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에 기여해 왔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매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및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과 공동으로 미국, 일본, 중국, EU, 국제기구, 인도 등 세계 각국의 과학기술정책동향 및 정보를 정리하여 과학기술정책 입안 및 결정자, 오피니언 리더, 그리고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관심이 있는 일반국민들을 대상으로 글로벌 과학기술 정책동향?분석자료를 발간·배포해 오고 있다.
○ 금번 발간하는「글로벌 과학기술 정책동향·분석 2010-2011」은 2010년도 중 전 세계에서 수집한 총 2,282개의 과학기술정책동향 및 정보 중 총 512개의 정책동향과 정보를 엄선하여 수록하고 있다. 본 책자에 수록되는 정책동향과 정보는 다시 ‘과학기술전략’, ‘기초연구진흥’, ‘과학기술인력’, ‘핵심R&D분야’, ‘그린테크놀로지’, ‘과학기술문화/삶의질’, ‘과학기술국제화’, ‘기술혁신지원/산학연협력’ 등 8개 주제로 분류하여 현안 이슈를 제시하였다.
□ 금번 보고서는 서두에서 2010년도에 국내외적으로 관심도가 높았던 바이오·생명과학 분야의 정책·연구·산업동향을 특집으로 다루어 심층분석 하였다.
○ 바이오 분야의 정책동향을 보면, 글로벌 경제위기에서도 우리나라를 비롯한 선진 각국은 BT에 대한 투자를 오히려 증가시켜 BT 산업화 전략을 통한 성장활로 모색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우리 정부는 바이오신약 개발에만 1조원 이상을 투자하는 등 산학연과 연계·협력하여 바이오·생명과학 분야를 미래의 신성장동력으로 집중 육성할 계획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바이오 분야의 연구동향을 보면, 2010년의 가장 중요한 움직임은 ‘합성생물학’의 부상과 생명공학 연구결과의 시장 진입을 지적할 수 있었다. 미국·영국 등 선진 강대국에서는 합성생물학에 대한 연구수행과 지원이 매우 활발히 추진되는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제도적 근거는 갖추고 있으나 연구개발에 대한 인식과 시행은 초기 단계임을 알 수 있다.
○ 바이오 분야의 산업동향을 보면, 앞으로 블록버스터급 합성신약의 연이은 특허 만료가 예상됨에 따라 복제의약품에 의한 국내 바이오·생명과학 산업의 기회요인이 많아질 것이라고 예상한다. 또한, DNA 염기서열 분석비용이 감소해 감에 따라 개인형 맞춤의학도 국내 산업에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 한편, 금번 발간되는「글로벌 과학기술 정책동향·분석 2010-2011」에서는 2005년부터 2010년까지의 글로벌 과학기술정책동향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정리한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현황분석’ 정보를 제시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국의 과학기술정책 변화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학기술 정보흐름의 분석을 통하여 중요분야에 대한 국제적 관심도나 정책의 비중 그리고 방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번에 발간하는 「글로벌 과학기술 정책동향?분석 2010-2011」을 홈페이지(http://www.now.go.kr)에 게재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열람하도록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