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국제공동R&D 전문인력 양성한다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1-02-16
  • 등록일 2011-02-17
  • 권호

- 국제공동R&D전문가양성 아카데미 개최 -

 




  □ 지식경제부(장관: 최중경)는 2.17(수)~18(목) 양일간 산·학·연 R&D 실무자를 국제공동R&D 수행·사업관리 전문 인력으로 양성하기 위한 실무형 교육과정을 운영함


 ㅇ 동 과정은 파트너발굴-협상-계약-운영-성과관리-사업화 등 국제공동연구개발 추진의 각 단계별 애로사항을 해소할 수 있는 커리큘럼으로 구성되었으며,


 ㅇ 현장 경험이 풍부한 전문 강사진에 의한 사례 중심의 강의로 국제공동연구 수행에 필요한 생생한 노하우 습득이 가능하며 현장에 즉시 적용이 가능


  【 교육과정 개요 】


•일시/장소 : 2011.2.17(목)~18(금) 09:00~18:00, 서울교육문화회관 3층 동강홀


 •주최 : 지식경제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


 •참석자 : 약 120명


  - 지경부 이창한 산업기술정책관, 분야별 강사


- 기업, 대학 및 국공립/출연 연구(지원)기관의 국제공동 R&D 관련 실무담당자


   【 첨부 1】 세부 프로그램

 




 □ 금번 교육과정은 총 2일 15시간 과정으로 편성되어,


ㅇ 1일차에는 공동R&D 주제 선정, 기술협력 파트너 탐색 및 사업화 계획 등 국제공동R&D 기획 단계에 필요한 전문 지식을,

ㅇ 2일차에는 협상전략, 영문제안서 및 계약서 작성 실무, 프로젝트 관리, 지재권관리 등 연구수행 단계의 실무지식을 사례중심으로 전달할 예정


 


□ 본 과정은 성황리에 조기 마감되어 국제기술협력 담당 인력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에 대한 수요가 많음을 확인


  ㅇ 특히 신청자 분포상 중소·중견 기업의 비율이 전체의 약 42%로 가장 높아 국제공동연구가 기존 대학·연구소 중심에서 기업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


  * 참석자 유형별 분포 : 기업(50명), 유관기관(30명), 연구소(20명), 대학(10명), 기타(10명)


  □ 이창한 산업기술정책관은 인사말에서 중소·중견기업이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는 성장동력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R&D의 글로벌화가 필수적임을 강조하고,


 ㅇ 동 과정을 통해 R&D 혁신주체의 국제협력 전문성을 향상하고 전략적 대응능력을 배양하여 국제공동R&D 활성화 및 성과 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줄 것을 당부함


 □ 지경부는 향후 국제공동 R&D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11년 2사분기 중 2차 교육과정을 추가 운영할 계획임


     ※ 첨부 : 2011년도 국제공동R&D전문가양성 아카데미 개요


* 붙임 : 보도자료 전문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