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11년 신성장동력 투자펀드, 운용사 선정에 나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1-02-21
  • 등록일 2011-02-21
  • 권호



‘11년 신성장동력 투자펀드, 운용사 선정에 나서


- ’11년은 민관합동으로 총 2,500억원 조성 목표, 올 8월 출시 계획 -


- 글로벌펀드, 지방펀드, R&BD전용펀드 등 다각적 펀드 조성 -




□ 지식경제부(장관 최중경)는 2.21(월), 신성장동력 산업을 영위하는 글로벌 기술기업의 창출․육성을 위한 ‘신성장동력 투자펀드’의 운용계획을 공고하고 펀드운용사 선정을 위한 신청접수를 받는다고 발표함


 ㅇ ‘11년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약 500억원의 자금을 시드머니(Seed Money)로 출자하며, 이를 토대로 민간자금 2,000억원의 투자를 유도하여 민관합동으로 총 2,500억원의 신성장동력 펀드 조성을 목표로 함


□ 신성장동력펀드는 ‘09년과 ’10년 정부재원 1,500억원으로 민간투자 7,201억원을 유치하여 총 7개 펀드*, 8,701억원 자금을 조성하였으며, 13개사에 대해 총 1,880억원을 투자완료하였음(’11.2.21 현재기준)


     * 녹색성장펀드(2)(기업은행/AUCTUS, 산업은행/대우증권), 첨단융합펀드(3)(STIC, KTB컨소시엄, 베넥스/린드먼아시아), 바이오펀드(2)(KB창투/Burrill&Company, 한화기술금융/OBP) 등 총 7개의 펀드


□ ‘11년도는 3개 이내 펀드를 선정할 계획이며, 주요 출자 조건 및 선정 절차는 지난해와 유사하게 운영하되,


 ㅇ 지역기반펀드(글로벌․지방) 등 펀드운용전략의 다각화․차별화를 통해 신성장동력분야 신기술의 사업화, 확장(Expansion), 해외진출 등 기술기업의 성장을 전문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ㅇ 글로벌펀드(국제협력, 1,000억원), 지방펀드(지자체매칭, 1,000억원), R&BD 전용펀드(500억원) 등 분야별 1개 펀드씩을 선정할 계획


     * 분야별 펀드 주요내용




























구분



투자대상



비고



지역 기반



글로벌펀드



녹색‧신성장 기술 우위 기업과의 M&A, 우리기업의 글로벌 진출, 외국인투자 유치 사업



정부,외국정부각 200억원



지방펀드



특정 지역 기반의 녹색‧신성장 기술 기업, 친환경‧녹색 SOC, 신재생에너지 개발 등



정부,지자체 각 200억원



R&BD전용펀드



사업화연계기술개발․기술이전(특허신탁, 창의자본)기업 등



정부 100억원




     * 개별펀드의 규모는 1,000억원 이상(업체당 평균 투자금액 : 약 50~100억원)으로 하되, R&BD전용펀드의 경우 초기사업화(early-stage) 투자를 감안해 ‘11년은 500억원 규모로 펀드 조성


□ 신성장동력펀드가 대형펀드, 대규모투자를 통해 미래유망 신기술의 사업화에 집중 투자하는 펀드인 만큼, 금년도 글로벌펀드, 지방펀드의 결성을 통해 글로벌 진출기업, 지역 선도기업의 육성 및 스타기업 창출을 도모함


 ㅇ 특히, 신기술의 발굴․기획 단계부터 펀드투자를 연계하는 펀드(R&BD전용펀드) 조성을 통해 신성장동력 분야 정부 R&D 성과를 직접적으로 제고할 것으로 기대됨 


□ 한국산업기술진흥원(www.kiat.or.kr)은 운용계획 공고 후 3월 18일(금)까지 운용사 신청을 접수하고, 운용사 선정과 펀드 결성을 8월까지 완료할 계획임


     * 선정일정 : 사업계획 공고(2.21) → 설명회 개최(3.2) → 제안서 접수 마감(3.18) → 운용사 선정(3월) → 펀드결성 마감(8월)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