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ISTEP, 10년 뒤 사회 이슈 해결할 미래 유망기술은?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1-03-30
  • 등록일 2011-04-05
  • 권호

□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술, 양자암호기술, $100 Rollable 태블릿PC, 리튬에어전지, 광범위 작용 항미생물제제, 현장 진단 유전자 증폭기술 등이 신종바이러스 및 질병, 환경보호 이슈, 정보격차, 고령화와 같은 10년 뒤 우리 사회의 주요 변화에 잘 대처할 미래유망기술로 선정됐다.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원장 이준승)은 10년 후 다양한 변화를 맞게 될 우리 사회가 가장 필요로 할 ''10대 미래유망기술''을 선정, 발표했다.


* KISTEP은 미래 사회변화의 핵심동인인 과학기술의 발전을 다양한 시각에서 검토, 분석함으로써 미래 사회의 수요를 미리 파악하고,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09년부터 매년 ''10대 미래유망기술''을 선정, 발표하고 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