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제1회 녹색성장 초광역권 Capstone Design 공동전시회」개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1-04-06
- 등록일 2011-04-06
- 권호
대학생 그린에너지 아이디어, 기업 사업화 추진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그린에너지 분야 우수인재들의 아이디어 설계작품을 전시하는 “제1회 녹색성장 초광역권 Capstone Design* 공동전시회”를 4월 6~7일 양일간 금오공과대학교 체육관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전시회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추진하고 있는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인재양성사업’(약칭 ‘광역 인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영·호남 4개 대학(금오공대, 영남대, 목포대, 전북대)이 처음으로 공동 개최한 행사로서,
○ 미래 신재생에너지 산업 분야를 선도할 우수 인재들이 참신한 아이디어로 설계한 작품들을 하나로 묶어 공동 전시함으로써 그린에너지 분야 광역 인재양성센터 간 연계·협력을 강화하고 대학생들의 우수한 아이디어를 관련 기업 등에 소개하는 장을 마련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 특히, 이번 전시회에 공개된 학생들의 아이디어 설계 작품 중 우수작품들이 해당 분야 기업체와 기술협약을 체결하고 제품으로 개발될 예정이라 더욱 주목받고 있다.
○ 금오공대 이지용(전자공학부)군이 제작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전자액자’는 홈네트워크 분야 유망기업인 오성전자(대표이사 유경종)와,
○ 같은 학교 김현(산업시스템공학)군의 ‘태양광 발전을 활용한 LED 간판’은 대영오앤이(대표이사 정장영)와 각각 기술협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 이외에도 금오공대 학생들이 개발한 태양광 및 수소연료전지분야 아이디어 설계작품 93점 중 총 11점이 관련 기업체와 기술협약을 체결함에 따라 사업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이와 같이 대학과 기업의 적극적 산학협력을 통해 학생들의 아이디어 작품을 시장 수요에 맞게 성능을 보완하고 기업의 제품으로 사업화될 수 있게 됨으로써,
○ 그동안 학생들의 훌륭한 아이디어 설계작품들이 사업화가 어려워 사장되어온 문제점을 개선하였을 뿐만 아니라,
○ 지역의 산업수요에 부합하는 우수 인재 양성과 기술개발을 통해 지역대학과 지역 선도산업이 동반성장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 앞으로도 교육과학기술부는 지역 산업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다양하고 특색있는 산학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원하여,
○ 대학과 기업간 산학협력이 우수 인재 양성과 R&D 활성화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지역 발전을 견인하는 일자리 창출 및 기술혁신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산학협력 정책추진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Capstone Design이란?
- 공학계열의 학생이 실제 산업현장에서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졸업논문 대신 대학 전 과정에서 배운 모든 이론 교과목, 설계교과목들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작품을 설계?제작하는 종합설계 교육프로그램임
**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인재양성사업란?
- 광역인재육성사업은 교육과학기술부가 광역경제권 신성장 선도산업 육성계획과 지역대학 육성계획을 연계해 ’09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대표적인 산학협력 지원 사업으로 전국 6개 광역경제권(수도권 제외)의 20개 지역대학을 선도산업 분야별로 선정하여 지원하고 있음
< 광역권별 선도산업 및 지원대학 현황 >
|
|
광역권 |
선도산업 |
지원대학 |
광역권 |
선도산업 |
지원대학 |
충청권 |
New IT |
한국기술교육대, 호서대 |
대경권 |
그린 에너지 |
금오공대, 영남대 |
||
의약 바이오 |
순천향대, 충남대 |
IT융복합 |
경북대, 계명대 |
||||
호남권 |
신재생 에너지 |
목포대, 전북대 |
동남권 |
수송기계 |
한국해양대, 창원대, 울산대 |
||
친환경 부품소재 |
전남대, 조선대 |
융합 부품소재 |
부경대, 부산대 |
||||
제주권 |
물산업 |
제주대 |
강원권 |
의료융합 |
강원대 |
||
관광레저 |
제주대 |
의료관광 |
한림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