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여성과학기술인 ‘소통과 창조’의 한마당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1-04-09
  • 등록일 2011-04-11
  • 권호

‘2011 여성과학기술인연차대회’ 8일 개최


□ 여성과학기술인 및 국회·정부 관계자, 과학기술계 전문가, 예비 여성과학기술인들이 모여 지난 10년간 여성과학기술인 지원사업을 평가하고 앞으로 방향을 진지하게 토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 ‘소통과 창조- 더 큰 여성, 더 큰 나라’라는 주제로 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된 ‘2011년 여성과학기술인 연차대회’는 여성의 과학기술분야 진출을 지원한 우수기관 시상, 정책포럼과 강연, 멘토링 순으로 진행됐다.


  ○ ‘여성과학기술인력 채용목표제’를 모범적으로 시행한 우수 기관으로  농촌진흥청이 최우수상을,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과 한국화학연구원이 장려상(교육과학기술부 장관상)을 받았다. 한국폴리텍대학,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는 여성과학기술인 친화적 기관혁신사업 수행 우수기관(한국연구재단 이사장상)으로 선정됐다.


  ○ 정책포럼은 ‘여성과학기술인 지원사업 10년의 성과와 앞으로의 과제’를 주제로 박영일 교수(이화여대 R&D 협력단장)가 발표했다. 패널로는 곽재원 대기자(중앙일보), 민무숙 선임연구위원(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정광화 원장(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 최종배 과장(교과부 과기인재정책과)이 나섰다.


  ○ 유명희 청와대 미래전략기획관은 ‘여성과학자의 도전과 성취’를 주제로 강연했다.


  ○ 이날 행사의 마지막 하이라이트는 선배 여성과학기술인들과 예비 과학기술인들이 한 테이블에 앉아 저녁을 같이 하면서 경험과 지혜를 나누는 멘토링 시간. 이영희 삼성종합기술원 부장, 백경희 고려대 교수(생명과학부), 채영주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장 등 산?학?연 각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여성과학기술인 43명이 멘토로 참가하고, 150여명의 이공계 여학생들이 멘티로 참가했다.


□ 대회에는 백희영 여성가족부 장관, 김영식 교육과학기술부 연구개발정책실장, 이현구 청와대 과학기술특별보좌관, 유명희 청와대 미래전략기획관, 김영환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위원장, 박영아, 배은희(한나라당), 유성엽(무소속) 국회의원을 비롯해 과학기술계 인사들과 여성과학기술인, 예비 여성과학기술인 등 200여명이 참석했으며,


□ 행사를 주최한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이혜숙 소장은 “이번 대회는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에서 진행해 온 여성과학기술인지원사업을 평가하고 잘된 점은 치하하고 미진한 점은 적극 보완하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우리센터의 통합출범 원년을 기점으로 앞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일원화된 시스템으로 여성과학기술인을 지원하는 방향에 대한 인식의 공유를 이루어내는 장이 되었다”고 말했다.


□ 2011년 여성과학기술인 연차대회’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www.wiset.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KAI-WISET)은


 지난 1월 4개로 흩어져있던 여성과학기술인 지원기관들을 하나로 합쳐  새로이 출범한 기관으로 △여학생들의 이공계 진학 및 취업 지원 △여성과학자와 여학생의 멘토링 △여성과학기술인의 지위향상 △여성과학기술 관련 정책연구 등의 사업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다.


 


 ※ KAI-WISET: Korea Advanced Institute of Women in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의 약자로 전생애주기적 여성과학기술인의 육성?지원을 위한 통합적 사업 지원기관이다.  




<자료문의>

☎ 2100-6627  교육과학기술부  과기인재정책과장  최종배, 사무관 : 서경춘

☎ 3277-3642, 4634, 4054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육성활용지원팀장 권지혜, 정책협력사업팀장 송은경, 정보멘토링지원팀장 박정희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