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세계 수준급 국가 명품 연구그룹 육성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1-04-11
  • 등록일 2011-04-11
  • 권호

대학내 자생력을 갖춘 연구거점형 글로벌 핵심연구센터 추진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대학내에 지속가능하고 자생능력을 갖춘 세계 수준급 “국가 명품 연구센터”를 육성하기 위한 「글로벌 핵심연구센터」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본 사업은 집단연구사업의 최대 규모인 연간 30억원씩 10년간 지원하며, 향후 10년간 10개 센터를 선정하여 육성할 계획으로 올해는 2개 센터를 선정할 예정이다.


    ※ 2011년 4.11(월)일 신규 선정 안내 공모(교육과학기술부/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 참조)


□ 「글로벌 핵심연구센터」는 대학을 기반으로 국내외 관련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여 기초원천기술을 개발하고,해외 현지 연구기관과의 실질적인 공동연구 수행을 통한 국내·외 R&D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기술혁신의 거점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 본 사업은 지난 20년간 SRC/ERC 등 선도연구센터를 운영한 경험을 토대로 그간의 축적된 연구역량의 결집을 통해 세계 수준의 연구집단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경로를 마련해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 기술개발의 대형화, 융·복합화 추세인 세계 R&D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 집단연구사업 종료시 우수연구집단의 해체로 인한 연구자원의 손실을 막고 그동안 축적된 연구역량을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대학내 자생력과 경쟁력을 갖춘 세계적인 연구집단을 육성하는 대표적인 사업이 될 것이다.


□ 선정 절차는 연구자의 역량과 비전을 평가하는 패널·발표평가를 실시하고 유치기관의 지원 의지 등을 확인하기 위한 현장실사도 실시할 예정이다.


 ○ 또한, 센터장의 권한 확대를 위해 세부과제의 자율적인 조정·평가 권한을 부여하고, 연구자의 행정업무 부담을 줄이고자 단계평가 횟수를 최소화 하는 등 창의적인 연구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최대한 자율성을 부여할 예정이다.


   ※ 타 사업은 매 3년마다 단계평가를 실시하나 이 사업은 6년후(6년+4년) 단계평가 진행 예정




□ 교육과학기술부 기초연구정책관은 "그 동안 집단연구사업이 국내 대학간의 활발한 교류와 소통을 제공하는 장이었다면, 「글로벌 핵심연구센터」사업은 해외 현지 우수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를 통한 외연 확대를 통해 세계 수준급 연구거점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고 밝혔다.


 


<자료문의> ☎ 02-2100-6830, 교과부 기초연구지원과장 조상원, 사무관 박영미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