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중기청, 중소기업 R&D 정책 현장에서 발굴한다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중소기업청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1-04-11
  • 등록일 2011-04-11
  • 권호

중기청, "중소기업 R&D 정책연구회"를 통해 정책 공모



중소기업 R&D 정책, 현장에서 발굴한다

 

 



□ 중소기업청(청장 김동선)은 중소기업들의 현장 목소리를 적극 반영한 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중소기업 R&D 정책연구회’(이하 ‘연구회’)를 모집한다.


□ 이번 연구회 지원사업은 그간 정책수립 과정이 정부 주도로 진행되던 방법과 달리, 정책 수요자들이 직접 과제를 정하고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하여 중소기업 R&D정책을 발굴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 연구회는 현장의 목소리를 잘 반영할 수 있도록 정책 수요자인 기업, 대학·연구소, 학회 등의 중소기업 관련 전문가들(6인 이상)로 구성되어 운영된다.


□ 금년에 처음 시범 운영되는 “중소기업 R&D정책연구회” 사업은 총 6억원의 예산으로 10개의 연구회를 선정, “심화연구”와 “일반연구”로 구분되어 진행되며,


◦ 단발성 연구용역 성격의 과제연구보다는 중장기 중소기업 R&D 정책과의 연계를 고려한 선행 정책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될 예정이다.


- 심화연구 과제는 중소기업 R&D 지원정책으로 활용도가 높은 과제를 Top-down 방식으로 우선 선정하고, <![endif]>


- 일반연구 과제는 기존 지원정책의 개선사항이나 신규 정책아이디어를 Bottom-up 방식으로 발굴하게 된다.


□ 연구회는 중소기업 R&D정책 전반의 다양한 주제에 대한 참여 전문가간 토론과 연구로, 관련 기술동향 파악 및 현장 맞춤형 R&D정책을 발굴하는 Think-Tank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 또한, 이렇게 개별 연구회를 통해 도출된 최종 연구결과는 별도 위원회 평가를 거쳐 ‘중소기업 기술혁신포럼’ 등과 연계 운영하여 향후 중소기업 R&D 지원정책에 반영될 예정이다.


□ 이상훈 중기청 기술정책과장은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은 자체 혁신자원이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산·학·연·관 모두의 공동 대응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하며,


◦ “금번 연구회가 개별 주체들의 혁신역량을 결집하고 실효성 있는 중소기업 R&D 정책을 발굴하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신청은 오늘부터 다음달 11일까지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를 통해 받으며, 자세한 사항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중소기업기획팀(042-715-2311, 2315)으로 문의하면 된다.

 

 

 

<붙임>


1. “중소기업 R&D 정책연구회” 사업개요


2. 2011년도 중소기업 R&D 정책연구회 모집공고(안)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