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IET, 나노융합기술의 산업화 방향과 과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산업연구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1-04-04
  • 등록일 2011-04-18
  • 권호
요약



나노기술은 다양한 산업에서 새로운 사업기회를 창출하는 신기술분야이며, 기술융합뿐만 아니라 

산업경제,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도 큰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최근 들어 나노기술

의 발전에 의해 기술 및 산업의 융합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고 있으며, 이는 산업발전 

전략, 산업혁신의 원천은 물론이고 가치사슬까지 변화시키고 있다. 동시에 본격적인 산업화를 위

해서는 물질의 안전성 및 사회적 합의의 도출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경제는 기존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아울러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모멘텀으로 나노

기술의 개발과 적용에 주력하고 있으며, 전자, 소재 부문에서는 기술개발 성과와 아울러 기업들의 

투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2015년경에는 국내 제조업 생산에서 11~15%가 나노기술을 활용할 것으로 전망되며, 의

약, 반도체 및 전자부품용 소재에서는 30~50%까지 나노기술이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나노기술의 산업화에는 다양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다른 신생 산업보다 높은 진

입장벽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술과 시장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산업화의 경로와 비전을 명확하

게 해야 하며, 전문인력 양성, 과감한 R&D투자와 공동연구의 확대, 사업 인프라의 확충을 통해 초

기 시장 접근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나노기술이 산업발전 초기단계라는 점을 고려할 때 경제적 관점에서도 단일한 기준에 의

한 정의가 도출되고 이에 대응하는 통계기반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과학에서 제품개발, 산

업화에 이르는 나노기술의 전 과정에 대하여 주요 주체, 즉 연구자, 기업, 정부는 물론이고 사회 전

반적인 이해를 높이고 긍정적 활용을 위한 인식이 개선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1. 머리말

2. 나노융합산업의 특성

3. 나노융합산업 중장기 전망

4. 나노융합 산업화를 위한 과제

(1) 나노기술의 산업화 비전 제시

(2) 산업화 초기의 진입장벽 완화

(3) 나노융합산업 통계기반 강화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