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국과위, 제2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개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국가과학기술위원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1-04-19
  • 등록일 2011-04-25
  • 권호

국가과학기술위원회(위원장 김도연)는 오늘 제2회 본회의를 개최하여 2012년도 정부연구개발투자방향 등 5개 안건을 심의함으로써 국가연구개발 투자 효율성 제고를 위한 본격적인 활동을 개시한다.


* ①2012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창의적 과학기술인재대국을 위한 제2차 과학인재 육성지원기본계획(‘11~’15), ③생명연구자원관리 기본계획(‘11~20), ④나노기술종합 발전계획(‘11~20), ⑤제2차 연구성과 관리․활용기본계획(‘11~’15)


○ 국과위는 ‘2012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에서


- 우리나라가 MB 정부의 ‘과학기술 기본계획에 따라 총 R&D투자(정부+민간) 규모를 GDP 대비 5%로 확대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12년 정부 R&D 규모를 ‘08년 대비 1.5배 확대토록 하고


-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정부 R&D투자의 확대기조 유지, 정부 R&D 재원의 전략적 투자강화, R&D 투자관리 시스템의 선진화를 기본방향으로 제시할 예정이다.


○ 또한, ‘제2차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11~’15)‘에서는


- R&D분야별․단계별 특성이 반영된 평가지표를 개발․적용하여 사업에 대한 질적 평가를 강화하는 한편, 기획부터 평가까지 R&D프로세스 단계별로 성과 목표를 모니터링하여 후속연구 및 기술이전․사업화까지 연계하는 연구개발 전주기에 걸친 “연구성과 목표관리제”를 도입 시행할 계획임을 제시한다.


아울러, 금번 회의에서는 교과부가 과학기술과 교육의 융합을 통해 초중등 과정부터 전 생애주기에 걸쳐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를 육성 하고 세계적 연구성과 창출을 위한 연구자들의 연구몰입 환경을 조성한다는 내용으로 ‘제2차 과학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을 상정하여 확정할 예정이다.


○ 그 외에도 국과위는 교과부가 상정한 미래 바이오 경제의 근간이 되는 생명연구자원의 국가적인 관리체계 구축을 주 내용으로 하는 ‘생명연구자원관리 기본계획’과 2020년까지 나노융합원천기술 30개 이상을 확보하여 나노기술 선도국가에 진입한다는 내용의 ‘제3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을 심의하여 확정한다.


김도연 위원장은 국과위가 자주 개최되지 못해 4~6개월간 국가획으로 확정짓지 못하고 있던 3개 계획을 확정지으면서 국과위가 상설 행정위원회로 새롭게 출범한 이유가 국가적 현안에 능동적으로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함임을 강조하고 관계부처에서도 국가적 방향모색에 적극 동참하여 줄 것을 당부할 계획이다.


 


붙임 : 제2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개최계획 및 상정안건 요약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