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2011년도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전략연구 확대 추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1-06-03
  • 등록일 2011-06-08
  • 권호

기초연구 미래유망분야 등에 총 240억 투자, 80개 과제 신규 공모



<자료문의>


☎ 02-2100-6829, 교과부 기초연구지원과장 조상원, 사무관 지운하


☎ 042-869-6820,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지원팀 이상대 팀장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우리나라가 주도적으로 선도할 미래유망 분야를 전략적으로 선점하고 구제역, 지진 등 사회현안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2011년도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전략연구’ 추진계획을 수립 · 확정하였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풀뿌리 기초연구 강화 및 기초연구의 저변확대와 함께 한정된 기초연구 예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전략연구를 확대하여 추진키로 하고 금년 240억원을 편성하여 신규과제 80개를 지원하기로 결정하였다.




□ 중견연구자지원사업에서 지원하는 전략연구는 매년 하반기 정부가 정책적 의지를 가지고 Top-down 방식으로 전략분야와 대주제를 설정하여 발표하고 세부과제는 연구자가 기획하여 제안하는 형태로 진행하는 사업으로 경제 · 사회적 중요성과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3가지 유형*으로 구분 · 지원한다.


 








* 유형Ⅰ(중점) 국가 과학기술정책 및 기본계획 등을 반영한 중점 연구분야


유형Ⅱ(유망) 우리나라의 주도적 성장이 기대되고 발전가능성이 큰 미래유망 분야


유형Ⅲ(이슈) 사회적 현안 및 잠재적 이슈 관련 연구분야




○ 유형Ⅰ(중점)은 과학기술기본계획, 녹색기술, 신성장동력, 과학기술 미래비전 등 과학기술 정책과 연계하여 상대적으로 우리 기술수준이 낮고 미래 전도 유망한 기술을(신산업 창출, 신재생?고효율 에너지 등) 위주로 6개 분야, 16개 대주제를 도출하고 60억원으로 20개 과제를 지원한다.


○ 유형Ⅱ(유망)는 기 도출된 기초연구 100대 미래유망분야를 기본으로 하되 유형Ⅰ(중점), 유형Ⅲ(이슈)와 유사성 및 관련성이 깊은 주제는 해당 유형에서 추진토록 하여 9분야에서 88개 대주제를 대상으로 전년도 대비 예산을 2.5배 대폭 확대하여 50개 과제를 전폭 지원한다.


지원규모(계획) ‘10년도 15개 과제 60억원 → ’11년도 50개 과제 150억원


○ 유형Ⅲ(이슈)는 구제역, 지진 등 사회적 이슈가 되는 현안문제, 생명?나노공학 등 과학기술의 영향력이 확대됨에 따라 과학기술의 윤리적 역할이 강조되는 분야를 전략분야로 5개 분야, 17개 대주제를 도출하고 30억원으로 10개 과제를 지원한다.


 








※ 전략분야 도출을 위하여 학문분야별 전문가 의견과 제안을 수렴하였고, 특히 우리나라의 주도적 성장이 기대되고 발전가능성이 큰 기초연구분야를 발굴하기 위해 기획연구를 시행하여 피인용 상위 1% 논문분석, 전문가 추천 및 설문조사, R&D 경쟁력 분석 그리고 선정위원회 심의을 거쳐 도출된 100대 미래유망분야를 전략분야로 활용




□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2011년 7월 5일(화)까지 연구제안서를 접수하고 7월 중순 1차 토론평가와 8월 초순 2차 발표평가를 통해 최종 연구자를 결정하여 발표할 계획이다.


*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 등에서 사업공고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