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STEPI, 이공계 일자리 구조와 진로 변화에 따른 정책적 대응방향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1-06-15
- 등록일 2011-06-20
- 권호
이공계 인력의 공급과잉 현상 심화와 일자리 부족 등으로 직업 안정성이 감소하면서 노동시장 진출여건이 취약해지고, 노동시장 고용 변화와 이공계 기피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면서 고등교육 진입 단계에서 우수학생들이 이공계를 기피하거나 이공계 진입 이후 진로결정 과정에서 전공분야로의 진출을 기피하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제조업의 고용창출력이 감소하고 서비스업이 확대되는 등 산업구조의 변화와 과학기술기반 사회로의 이동으로 이공계 기반 직업이 다양화되는 추세이며, 국가 경제성장에 과학기술의 역할이 확대됨에 따라 사회적으로 주요 의사결정 영역에서 이공계 인력의 의무와 책임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그동안 STEPI에서 연구된 주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이공계 일자리 구조, 이공계 진로 현황 등을 분석하고 이공계 인력의 육성 및 활용에 기여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시사점 1] 이공계 일자리의 노동여건에 대한 이해와 대응
[시사점 2] 일자리 구조의 변화와 이공계 교육의 변화방향
[시사점 3] 이공계 인력에 특화된 진로 및 경력개발 지원 시스템의 구축
목차
<요약>
1. 서론
2. 이공계 일자리 구조와 특성
3. 이공계 진로 현황 및 특성
4. 이공계 인력의 초기 노동시장 특성
5. 정책적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