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KDI, 글로벌 녹색성장 서밋 2011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개발연구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1-06-09
- 등록일 2011-06-22
- 권호
글로벌 녹색성장 서밋 2011
「지구 책임적 문명 건설」
Global Green Growth Summit 2011
"Building Planet-Responsible Civilization"
- 기 간: 2011년 6월 20일(월) ~ 21일(화)
- 장 소: 롯데호텔 클리스탈 볼륨(2층)
- 주 최: 대한민국 정부 , OECD
- 주 관: 경제·인문사회연구회(NRCS),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한국개발연구원(KDI)
□ 정부는 OECD와 공동으로 6월 20, 21일 양일간 OECD 창립 50주년과 한국의 OECD 가입 15주년, 국제사회의 깊은 관심 속에 탄생한「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GGGI)」설립 1주년을 기념해「지구 책임적 문명 건설」주제의 글로벌 녹색성장 서밋 2011을 개최함.
□ 이명박 정부가 주창, 선도해 온 녹색성장은 자연 자원의 제한성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기후 변화와 산업 발전에 따른 환경 황폐화의 제약조건 하에서 미래의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발전을 모색하는 새로운 전략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음.
녹색성장 패러다임의 정책적 도입을 통해 지속성장을 가능케 할 투자와 혁신을 촉진하고, 보다 나은 삶을 위한 새로운 경제기회와 변화를 창출할 수 있음.
□ 2010년 G20 정상회의 의장국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한국은 2008년 세계 최초로 녹색성장 패러다임을 주창, 국제사회와의 공조에 기반한 많은 활동을 통해 녹색성장의 글로벌 리더이자 롤모델로 확고히 자리잡았음.
올해 설립 50주년을 맞은 OECD는 녹색성장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제고하고 정책 연구와 집행의 중심적인 사항으로 발전시켜 왔으며, ‘보다 나은 삶을 위한 보다 나은 정책’이라는 궁극적인 목표 하에 한국 정부와 다양한 녹색 공조 방안을 모색하고 있음.
□ 서밋에서는 녹색성장의 개념을 더욱 정교화, 확장하고, 세계 각국의 실정에 적합한 녹색성장 정책 패러다임의 설정과 발전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네트워크 구축을 모색
□ 특히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은 기조연설에서 “정보혁명을 통해 인류행복에 기여할 수 있다는 비전 아래, 대지진 이후 일본의 회복을 선도적으로 지원해 왔다”며,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촉진시키는 신재생에너지위원회 설립을 통해 일본 에너지정책의 전환점을 마련한 경험을 소개함.
2011년 6월 13일까지 47개의 시지역 중 33개 지역이 신재생에너지위원회에 참가 신청했으며, 일본 의회는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한 세제혜택시스템을 도입하는 법안을 논의하는 등 대지진 이후 녹색성장에 관한 일본 사회의 관심도가 크게 증가했음.
□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 등 주요 국제기구 수장들과 세계 각국의 고위 공무원, 니콜라스 스턴 런던 정경대 교수 등의 석학을 비롯해 세계적인 녹색기업가 스정룽 썬텍 회장,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등 90여 명의 발표자와 패널토론자를 비롯해 800여 명에 달하는 대규모의 사전등록인단이 참가할 이번 서밋은 동북아는 물론 글로벌 차원의 녹색성장 협의체, ‘녹색 분야의 다보스 포럼’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됨.
※ 문의: 강승룡 KDI 홍보팀장 958-4035, 010-9057-0810
- 첨부#1. 글로벌 녹색성장 서밋 2011 프로그램
- 첨부#2. 세션별 주요 논의 사항 요약
- 첨부#3. 주요 참석자 약력
- 첨부#4. 언론 참고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