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중기청, 中企 융·복합기술개발 189억원 지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중소기업청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1-06-21
- 등록일 2011-06-24
- 권호
중소기업청(청장 김동선)은 『2011년도 중소기업 융복합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하는 83개 신규과제를 선정하여 189.5억의 예산을 지원한다.
이번에 지원되는 과제는 지난 3월 사업공고를 통해 신청·접수된 459과제에 대해 3단계평가(서면→대면→현장)를 거쳐 지정공모과제인 산연협력과제 40과제 92.5억원, 자유응모과제인 기업제안과제 40과제 71.6억원을 비롯하여 2010년부터 권역별로 운영 중인 “중소기업 기술융복합지원센터”를 통해 발굴·기획된 연계형과제 3과제 7억원 등이다.
최근 기술의 복합화와 신기술과의 융합화로 새로운 가치(Blue ocean) 창출에 대한 요구는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융․복합기술 지원정책의 직접적 수혜자는 대부분 대학, 연구소, 대기업으로 중소기업이 R&D의 개발주체가 되는 R&D지원정책은 중소기업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이 유일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사업은 중소기업간 공동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기업협동형기술개발사업’으로 2003년부터 시작되어, 지난해까지 총 593개 과제, 762억원을 지원한 결과, 기술적으로는 기술수준 향상, 기술자립도 제고, 기술격차 해소 등에 크게 일조하였고, 경제적으로는 매출향상은 물론 신규고용 창출 및 생산비 절감 등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 기술수준 : 세계최고 수준을 100으로 설정하였을 때 기술의 상대적 수준
* 기술자립도 : 완전한 기술자립을 100으로 설정하였을 때 기술의 자립 수준
* 매출발생액 : 정부출연금 1억원당 매출발생액
* 신규고용 : 과제당 신규 고용인력
‘중소기업 융·복합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간 공동기술개발에 대한 지원(산-산협력과제)은 물론, 첨단 융복합분야 기술개발 촉진 및 중소기업의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R&D능력 및 경험이 풍부한 공공연구기관의 참여를 제도화함으로써(산-연협력과제) 향후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금년도 선정된 과제에 대해서는 산-연협력과제(지정공모, 개발기간 최대 2년)의 경우 최대 6억(총사업비의 75%)이 지원되고, 산-산협력 기업제안과제(자유응모, 개발기간 1년)의 경우 최대 2.5억(총사업비의 75%)이 지원될 예정으로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향상에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청 관계자는 “6.22일(수), 오후2시 대전정부청사 후생동 강당에서 지원대상 기관(기업 포함)을 대상으로 협약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라며, “동 사업이 중소기업의 R&D역량 제고 및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대표적인 정부사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