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과기대와 공동으로 「과기대 특성화 및 육성방안」 마련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1-07-15
- 등록일 2011-07-18
- 권호
KAIST, GIST, DGIST, UNIST 과기대 특성화를 통해 세계적인 연구 중심대학으로 육성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과학기술대학(원)*과 공동으로 세계적 연구중심대학 육성을 위한 「과학기술대학 특성화 및 육성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한다고 밝혔다.
* 과학기술대학(원) : 한국과학기술원(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 그간 KAIST, GIST 등을 중심으로 과학기술대학(원)은 고급 과학기술인재 양성에 기여해 왔으나,
○ 사회적 기술수요와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신속한 인재양성과 국가 전략적인 연구활동 및 지역산업 발전의 연구거점으로서의 역할이 미흡하다는 지적도 있어 왔다.
○ 이에 정부는 대학과 출연(연) 기능이 융합된 과학기술대학(원)의 이점을 활용하여 글로벌 시장을 창조할 수 있는 선도연구와 지역산업을 주도하는 지역수요기반의 R&D 분야를 중점 지원하여 관련 핵심인재를 양성해 나가고,
○ 강점분야에 대한 특성화를 통해 과기대를 세계적인 과학기술 선도대학으로 육성해 나갈 방침이다.
① 우선, 세계 수준의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기반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 과학고, 과학영재학교를 과기대와 연계하여 과학기술과 교육의 융합시너지 창출 및 초중등 STEAM 교육과 연계한 ‘첨단과학교사연수센터’ 지정·운영
○ 해외 석학과 우수 외국인 교수를 유치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융·복합 교육 강화 및 스타과학자 육성을 위한 여건 조성
② 또한 전략기술 및 각 과기대의 강점분야를 특성화하고 연구의 창조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는 융합연구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 국가 新성장동력 발굴과 국가·지역의 전략기술 원천연구 등 국가 미래원천 R&D 분야 중점지원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을 집적한 캠퍼스와 연계 및 융합연구소를 중심으로 융합연구 활성화
③ 아울러,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른 학과신설 및 조직운영의 탄력적 대응 등 과기대 특성에 따른 자율성을 보장하고, 이사회의 의사결정 체제와 학교 운영체제의 적절한 균형유지 등 책무성 확보를 위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④ 또한 연구성과 확산을 통해 산·학 협력의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과기대간 교육·연구분야 시너지 창출을 위한 상호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앞으로 과기대는 부총장급의 「과기대 발전협의체」를 구성하여 학생교류를 통한 학점인정과 교수·연구원 교류 및 연구시설 공동 활용 등에 대한 상호협력 추진
□ 향후 교육과학기술부는 과기대와 함께 「과기대 특성화 실무 TFT」를 구성하여 세부 추진계획을 마련하고 대학별 제도 개선, 사업추진 등의 추진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