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수요 맞춤형 에너지인력양성 사업에 334개 기업·기관 참여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1-08-02
  • 등록일 2011-08-02
  • 권호

- 2011년 신규과제 28개 선정 -

- 해상풍력․체세대 에너지저장장치 분야 GET-Future연구실도 출범 -



□ 지식경제부(장관 최중경)는 에너지산업의 신성장동력화와 수출산업화를 선도할 수 있는 에너지인력의 저변을 확대하고 에너지분야 R&D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28개 대학(교) 34개 과제를 2011년도 신규사업으로 선정․확정하였음


□ 우선, 에너지업계의 인력 미스매칭을 완화하기 위해 기업이 원하는 교과과정을 패키지화한 “트랙”을 통해 기업맞춤형 인력을 양성하는 기초 및 고급 인력양성사업 28개 과제를 선정하였음


ㅇ 대상별로는 대학(전문대)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실무인력을 양성하는 기초트랙 10개 과제, 석․박사급 고급 R&D 인력을 양성하는 고급트랙 18개 과제를 선정하고,


  - 분야별로는 에너지효율 분야 10개 과제, 기술정책 분야 3개 과제, 신재생에너지 분야 7개 과제, 전력(스마트그리드) 분야 5개과제, 원자력 분야 3개 과제를 선정하였음


ㅇ 기초트랙은 매년 3억원 이내의 자금을 4년간 지원하고, 고급트랙은 매년 5억원 이내의 자금을 5년간 지원할 예정임


ㅇ 이번 신규지원 과제(트랙)를 통해 향후 5년간 학부생 약 6,300명, 석박사 2,600명을 양성할 계획이며, 이들 중 총 4,100여명(정규직 2,015명, 인턴 2,095명)이 에너지 산업체로 취업할 것으로 기대됨

□ 참고로 “트랙”은 에너지기술의 융복합화 추세에 발맞추어 기업의 시급한 인력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산․학간 인력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7월 도입한 시스템으로,


 ㅇ 기업과 대학이 컨소시엄을 형성하여 별도의 학과 신설 없이 기업이 원하는 교과목들로 교과과정(트랙)을 구성하고,


 ㅇ 기업이 인력양성 과정에 직접 참여(전문가 강의, 실습제공 등) 하는 한편, 양성된 인력을 기업이 채용하는 사업임


□ 또한 10년 이상의 장기적 관점에서 미래 우리나라 에너지기술개발을 선도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전문가 그룹 양성을 목표로 해상풍력과 차세대 에너지저장(Post LIB 화학전지 분야)의 2개 분야에서 6개 과제를 에너지 미래선도(GET-Future) 연구실로 선정(분야별 3배수)하였음


   * 해상풍력기술 분야 : 부산대학교, 경상대학교, 울산대학교

    차세대 에너지저장(Post LIB 화학전지 기술) 분야 : 서울대학교, 한양대학교, 전남대학교


   ** GET-Future : Green Energy Technology-Future, 1단계(3배수, 1년, 2억원) → 2단계(2배수, 3년, 5억원) → 3,4단계(최종1개, 3+3년, 10억원), 최장 10년지원


□ 금년 신규 28개 트랙에는 현대중공업, 삼성석유화학, OCI, 퓨얼셀파워 등 정규직 및 인턴 채용의사를 표시한 대․중․소 기업들과 이를 지원하는 기관 등 334개 기업 및 기관(과제당 평균 12개)이 참여하여 산․학간 눈높이차 해소에 주력할 계획임


 ㅇ 특히, 올해 사업은 취업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대학 육성과 중소․중견기업과의 동반성장을 목적으로 50%(28개 과제 중 14개)의 과제를 지방기업과 취업연계성이 높은 지방대학을 선정하여,


   * 지역산업 고용연계 대학 : 공주대, 군장대, 동아대(2), 부산대, 순천제일대학,

     영남대, 울산과기대, 전북대(2), 조선대, 한국과학기술원, 한남대, 호서대


  - 본 사업을 통한 지방중소기업과 지방대학 간의 긴밀한 협력으로 향후 지역중심의 인력 수급체계 구축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됨

   * (예시) 전북 군산에 위치한 2년제 대학인 군장대학은 폴리실리콘 생산 전문업체인 OCI(주)와 연간 정규직 100명을 채용키로 MOU를 체결하고 교육․실습 등 트랙운영 전반에 협력키로 함


 ㅇ 또한, 에너지 효율향상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확대하는 한편, 기술-인문-경영 등 학제간 협동을 통한 ‘에너지 기술정책 인력양성’ 과제를 금년에 추가로 선정하여 인력저변의 다양성을 꾀하였음


   * 에너지효율향상 분야 : 경기공대, 순천제일대, 동국대, 한남대, 동아대, 공주대, 국민대, 고려대, 서강대, 숭실대


   * 기술정책분야 : 호서대(기후변화 분야, 인문사회-공학 융합인력 양성)

                   조선대(태양전지․바이오 분야, 에너지기술-정책-비지니스 융합인력 양성)

                   숭실대(스마트그리드 분야, 기술-경제-경영 융합인력 양성)


 ㅇ 신재생, 전력, 원자력 분야의 경우 기업의 인력수요를 반영하되 원별 지원이 편중되지 않도록 선정하였음


   * 신재생(7) : 태양광(단국대, 군장대), 풍력(전북대, 동아대, 부산대), 연료전지(전북대), 해양에너지(한국과학기술원)


   * 전  력(5) : 스마트그리드(한경대, 명지대, 고려대), 수화력(대림대, 중앙대)


   * 원자력(3) : 영남대, 울산과학기술대, 한양대


□ 올해 신규 사업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사업은 기업의 단기 인력수요에 대응하는 트랙 사업과 달리 10년 이상 장기적 관점에서 미래 우리나라 에너지기술개발을 선도할 세계 최고 전문가 그룹을 양성하는 ‘에너지 미래선도 인력양성(GET-Future연구실)’ 사업임


 ㅇ 올해 처음으로 “해상풍력 기술 분야”와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Post LIB 화학전지 기술) 분야”에 각 3배수(총 6개)의 GET-Future연구실을 선정함


   * 해상풍력 기술 분야 : 부산대학교, 경상대학교, 울산대학교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Post LIB 화학전지 기술) 분야 : 서울대학교, 한양대학교, 전남대학교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