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ISTEP, “출연연 블록펀딩 예산 단위 기간 늘려야”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1-09-05
  • 등록일 2011-09-08
  • 권호

- 효율적 블록펀딩 추진을 위한 자율성과 책임성 강화 필요 - 

 

- KISTEP, '주요국 연구기관의 블록펀딩 지원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 통해 지적

 - 독일 및 영국 연구회 5년 단위 예산 부여, 출연연별 특성 고려한 예산 단위 설정 필요

 - 출연연 생산성, 성과창출 감소세....블록펀딩의 효율적 활용 통한 제고 방안 필요



□ 출연연 블록펀딩의 예산 단위 기간을 늘리고, 사업 유형을 다양화하여 ‘자율성‘과 ’안정성‘이라는 블록펀딩 제도의 원래 취지를 제대로 살려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원장 이준승)은 5일 선보인 이슈페이퍼 최신호 ‘주요국 연구기관의 블록펀딩 지원 동향 및 시사점’을 통해 최근 국과위가 단계적 확대방안을 발표한 블록펀딩 제도 운영 전반에 대한 제언을 발표했다.


※ 국과위는 8월 2일 열린 제7회 본회의에서 ‘R&D 성과창출을 위한 출연연 예산제도 개선(안)’을 심의·의결하고, 출연연에 대한 R&D 정부지원 예산 중 기관에 직접 지원하는 묶음예산 형태의 출연금 비중을 2011년 현재 42.6%에서 2014년 이후 70% 수준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키로 결정함.


 


 * 상세 내용은 첨부 보도자료 참조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