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IPET, 농림수산식품 분야 R&D 투자 현황 및 규모1,2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1-09-19
  • 등록일 2011-09-19
  • 권호
농림수산식품 분야 R&D 투자 현황



최근 3년간(2007~2009년) 농림수산식품 분야의 R&D투자는 국가연구개발 사업의 연평균 투자증가율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타부처의 농림수산식품 분야 투자증가율보다도 낮은 것*으로 나타남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평균 투자증가율 : 13.9%농림수산식품부 부·청·기관의 연평균 투자증가율 : 11.4%타부처의 농림수산식품 분야 연평균 투자증가율 : 22.1%



부청별 과제당 연구개발비 규모를 통해서 농림수산식품부의 과제가 매우 소규모이며, 영세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과제당 연구개발비 : 2.86억원지식경제부의 과제당 연구개발비 : 4.74억원농림수산식품부의 과제당 연구개발비 : 1.87억원



농림수산식품부의 총괄기능 강화* 등을 통한 농림수산식품 과학기술 역량 강화와 적극적 투자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타부처와의 중복성 문제**로 인하여, 농림수산식품부 부·청·기관만의 투자계획으로는 연구개발 관리의 효율성이 떨어짐

*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위원회 법적지위 강화(조정→심의)부·청·기관 공동수요조사 실시, 공동기획단 운영

** 7대 산업 중에서 유통·식품, 바이오, 생산시스템, IBNT융합 분야에서 특히 타부처의 투자비중이 매우 높아 중복투자 우려가 매우 큼



농림수산식품분야의 R&D는 타 분야와 달리 응용연구에 치우쳐있어, 실용화 산업화 측면의 개발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남

- 국가 전체 R&D의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비율에서 개발연구는 약 40%를 차지하고 있으나, 농림수산식품 분야의 R&D는 개발연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약 20%밖에 되지 않음

- GDP 대비 농림어업분야의 GDP가 감소하는 이유는 생산성과 곧바로 직결되는 실용화, 산업화의 개발연구가 미흡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2011년 농림수산식품 R&D 투자금액은 전년 대비 22%p 증액되었으며, 미래 성장동력을 확충하기 위해 생명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투자가 확대되었음

* 종자산업 중심의 생산시스템 분야(415억원, 40% 증), 기후변화 대응 등 자원·환경·생태기반 분야(355억원, 22% 증), 생명산업 기술 중심의 바이오 및 IBT융합·정보 분야(515억원, 바이오 25%, 융합 79% 증)



[본 내용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연구용역보고서 ‘2012년도 농림수산식품 R&D정책 및 투자방향 연구’에서 발췌하였습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