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2011년 기초연구 우수성과」 인증식 및 전시회 개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11-09-20
  • 등록일 2011-09-20
  • 권호

-미래꿈나무들이 최신 기초연구 성과물을 보고 만지고 느낄 수 있는 기회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오세정)은 「2011년 기초연구 우수성과」50건을 선정하고, 9월 22일(목) 국립중앙과학관의 첨단과학관(대전엑스포공원 내 위치)에서 우수성과 인증식 및 특별전시회 개막식을 개최한다.


     ※ 「기초연구 우수성과」 선정사업 : 매년 교과부 연구개발사업 성과 중  이공계 기초연구/인문사회연구/국책연구 부문의 우수 사례를 발굴·시상


□ 이날 행사에서는 이공계 기초연구 부문(27건), 인문사회연구 부문(8건), 국책연구 부문(15건)에서 총 50건의 연구성과의 우수성을 인증하고, 해당 연구자의 노고를 치하하는 교과부 장관 명의의 인증패를 수여할 예정이다.


  ㅇ ‘이공계 기초연구 부문’에서는 공포 공감능력에 장애를 보이는 각종 뇌 기능 장애의 치료법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공포 공감에 관여하는 뇌 회로와 그 기전 연구’(신희섭, KIST) 등 27개의 연구과제가 선정되었다.


  ㅇ ‘인문사회연구 부문’에는 정신과 신체를 통합한 복합적인 상담치료 방법을 제시한 ‘비행청소년의 정서 및 심리적 안녕을 위한 심신치유 복합 프로그램의 적용(육영숙, 성신여대)’ 등을 포함하여 8개의 연구과제가 선정되었다.


  ㅇ '국책연구부문’에서는 미래청정에너지로 주목받는 수소의 대규모 생산을 위한 핵심 노심기술을 개발한 ‘초온가스로 핵심 노심기술 개발(노재만, 원자력연구원)’ 등 15개 연구과제가 선정되었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위와 같이 선정된 최신 기초연구 성과물을 일반국민(특히 청소년)들이 쉽게 보고 만지고 느낄 수 있도록 첨단미디어(멀티뷰어, 터치스크린 등)를 활용하여 전시관을 구성하고, 국립중앙과학관의 첨단과학관에서 특별전시회(‘11.9.22~’11.10.5)를 개최한다.


□ 이번 인증식과 특별전시회는 우수 연구자와 일반국민이 함께 소통하는 축제의 장으로서 특별전시회 기간 동안 다음과 같은 부대행사가 개최되며, 관람학생들에게는 창의적 체험활동 인증서를 발급한다.


  ㅇ (낙도어린이 초청) 과학기술 소외계층이라 할 수 있는 낙도어린이들을 초청하여 최신 연구성과를 경험하게 하고, 우수 연구자들과 “멘토-멘티” 결연을 맺어 줌으로써 낙도어린이들에게 과학과 학문에 대한 꿈과 희망을 전달


      * 충남 보령군 원산도에 거주하고 있는 ‘광명초등학교’와 ‘원의중학교’ 학생 46명


  ㅇ (도전 R&D 골든벨) 청소년을 대상으로 기초과학에 대한 퀴즈대회를 개최하고 입상자에게 장학금 지급


  ㅇ (과학벨트 퍼즐 맞추기) 전시관 방문자가 과학벨트 조감도에 대한 퍼즐을 완성 시 선물을 증정함으로써 과학벨트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유발


  ㅇ (코스프레 경진대회) 단조로운 연구성과 전시회를 국민과 함께하는 축제형태로 승화시킴으로써 청소년들에게 과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해 전국 청소년 코스프레 경진대회를 개최


□ 한편「2011년 기초연구 우수성과」 전시회는 기존의 일회성 전시회와 달리 특별전시회가 끝난 후 전국 주요 도시 KTX역사에 순회전시를 개최하고, 동 전시물들을 국립중앙과학관의 첨단과학관에서 1년간 상설로 전시함으로써 제작된 전시물이 최대한 활용되도록 할 예정이다.


  ㅇ 특별전시회(9.22∼10.5) :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성과물 집중전시


  * 관람시간: 오전 9:30~오후 5:30 /관람 무료


  ㅇ 순회전시회(10.7∼30) : 서울, 부산, 대구, 광주 KTX역사에서 전시


  ㅇ 상설전시회(‘11.10∼’12.9) :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상설로 전시


□ 교육과학기술부는 금번「기초연구 우수성과」인증식과 전시회를 통해 각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성과를 배출한 연구자들을 격려하고 기초연구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이해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