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환경부,『한국 기후변화 평가 보고서 2010』국내 첫 발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환경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1-09-22
  • 등록일 2011-09-22
  • 권호

우리나라 기후변화 동향과 전망 집대성한,『한국 기후변화 평가 보고서 2010』국내 첫 발간

◇ 기후변화 관측 및 예측(PartⅠ),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PartⅡ)로 구분, 약 1,700편의 논문을 평가・분석

◇ 우리나라 기후변화 정책수립 및 IPCC 제5차 보고서에 동아시아 기후변화 기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최근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립환경과학원이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영향을 평가한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10」을 발간했다.

 ○ 보고서 작성에는 세부 분야별 전문가가 총 109인(Part I 46인, Part II 66인, 공통 3인)이 참여했으며, 2010년까지 발표된 총 1,735편의 국내・외 논문의 내용을 반영했다.

 ○ 이 평가보고서는 2010년 발간된 영문판 요약보고서의 원형으로, 한반도를 대상으로 발표된 기후변화 관련 국내・외 연구 논문 등을 분석・평가하여, 기후변화 동향과 전망을 집대성했다.

  ※ 영문판 요약 보고서: 제32차 IPCC 총회(‘10.10.11∼14, 부산) 및 UNFCCC COP16 (‘10.11.29∼12.10,멕시코 칸쿤)에 맞추어 발간・배포



 □ 이번 발간된 기후변화 평가보고서는 전지구 기후변화를 평가한 IPCC 보고서를 준용하여 국내 실정에 맞도록 보고서 체제 및 내용으로 구성됐다.

  ○ 기후변화 관측 및 예측 분야(PartⅠ)는 기후변화 개관, 기후변화 관측, 생지화학과정, 구름과 에어로졸, 인위적 및 자연적 복사강제력, 기후변화의 탐지와 원인, 지역기후 전망 등 7개 장으로 이뤄졌으며,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기후변화 관측과 관련하여 한반도는 온실가스 농도와 기온 상승폭이 전지구 평균에 비해 높고, 지표 피복 및 식생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등 기후변화에 민감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 대기순환 변화면에서는 지구 온난화에 따라 한반도가 웜풀(Warm pool) 엘니뇨 영향권이며, 극한 기후(혹한, 집중호우)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 일반 엘니뇨 해에 한반도는 여름~가을철에 한냉, 이듬해 봄철에 온난한 기후를 나타내나, 웜풀 엘니뇨 해에는 여름과 가을철에 온난기후가 발생함

   - 미래기후 전망과 관련하여 평가보고서는 21세기 말이 되면 현재에 비해 기온이 상승, 강수의 경우 다소 불확실성이 존재하나 호우 빈도 증가, 아열대 기후구 확장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 기후변화 영향, 적응 및 취약성 분야(PartⅡ)는 한반도의 기후변화 현황 및 미래전망, 기후변화 영향평가, 수자원, 생태계, 농업, 연안 및 해양, 산업, 보건 등 8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수자원측면에서는 계절 편중적 유량 변화로 홍수/가뭄의 발생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 생태계 및 농업은 기후변화에 따라 개화시기와 작뭄재배적기 변화, 아열대종(식물, 해충)이 증가하는 등 생태계 및 농업에 양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 보건측면은 기후변화로 폭염, 기상재해, 대기오염(호흡기) 질환, 동물 및 수인성 식품 매개 전염병 등이 증가하는 등 국민보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 이번 보고서는 정부에서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에 대해 현황을 분석하고, 미래를 전망한 내용을 국민에게 알리기 위해 발간한 기후변화 백서로,

 ○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정책 수립, 국내・외 홍보 및 관련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며, 향후 2013년~2014년에 발간 예정인 IPCC 제5차 보고서에서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기후변화를 기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지속적인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 평가와 분석을 위해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를 정기적으로 발간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